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김남일

다른 표기 언어 金南一 동의어 중백(重伯), 지남(砥南)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635년(인조 13)
사망 1696년(숙종 22)
경력 상의원별제, 홍산현감, 괴산군수
유형 인물
직업 문신
대표작 지남선생일고
성별
분야 종교·철학/유교
본관 예안(禮安: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요약 조선후기 상의원별제, 홍산현감, 괴산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자는 중백(重伯), 호는 지남(砥南), 아버지는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된 김단(金鍴)이며,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 권극해(權克諧)의 딸이다. 외조인 권사고(權槎皐)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7년(숙종 3) 향천(鄕薦)으로 현릉참봉(顯陵參奉)에 제수된 후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 사포서별검(司圃署別檢) 등을 거쳤으며 1691년 수상(首相) 권대운(權大運)과 이조판서(吏判) 유명현(柳命賢)의 추천으로 상의원별제(尙衣院別提)에 임명된 후 홍산현감(鴻山縣監), 괴산군수(槐山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그가 홍산현감으로 있을 때 흉년을 만나자 자기의 봉급을 털어 6백여 석의 곡물(穀物)로 굶주린 사람들을 구했으며, 많은 토지를 농경정리하는 등 선정을 베풀자 도신(道臣: 관찰사)이 그의 공로를 칭친하였다.

괴산군수로 있을 때에도 오로지 군민(郡民)만을 위한 정책을 펴자 고을 사람들이 그를 존모(尊慕)하여 송덕비(頌德碑)를 세웠으나 곧 묻도록 명하였다. 그가 괴산 군제(郡齋)에서 세상을 마치니 그의 청백(淸白)한 마음을 아는 친구들이 옷 한 벌씩을 보내 장사 지내도록 하였다. 저서로는 『지남일고(砥南逸稿)』가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지남일고(砥南逸稿)』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남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