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요약 김경손은 고려 후기 전라도지휘사·추밀원지주사·추밀원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이다. 1231년(고종 18) 구주성전투에서 정주분도장군으로서 몽골군을 방어해 냈으며, 1237년(고종 24)에 전라도지휘사로서 이연년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인망이 높아지자 위협감을 느낀 최항에 의하여 제거되었다.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김운래(金雲來)이다. 평장사(平章事) 김태서(金台瑞)의 아들이며, 계림부원군 김혼(金渾)의 아버지이다.
주요 활동
성품은 장엄·장중하고 온화하고 온유하였으며, 지략과 용기가 뛰어나고 지혜가 있었다. 거실에 있을 때도 항상 관례의 두 번째 의식 때 입는 복장의 하나인 조삼(皁衫)을 입고 손님을 대하듯 했다고 한다.
음관(蔭官)으로 출발하여 여러 직을 거쳐, 1231년(고종 18) 정주(靜州: 현 평안북도 의주) 분도장군(分道將軍)으로 있을 때 몽골군의 침입이 개시되었다. 몽골군이 철주(鐵州: 현 평안북도 철산)를 함락하고 정주에 침입하자 힘써 싸웠다. 이어서 구주(龜州: 현 평안북도 구성)에 가서 박서(朴犀)와 합세하여 구주성전투(龜州城戰鬪)에 참전하게 된다. 김경손은 몽골군의 집중 공격을 받은 남문을 굳게 지켰으며, 포차(砲車)로 맹렬하게 공격하는 몽골군의 공격을 앞장서서 막아내어 구주성 방어에 큰 공을 세웠다. 이로써 그의 지휘 능력이 크게 인정받았고, 인망이 높아졌다.
1233년(고종 20) 대장군(大將軍)·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가 되었다. 1237년(고종 24) 전라도지휘사(全羅道指揮使)가 되어 담양(潭陽)·해양(海陽: 현 광주광역시) 등지를 휩쓸던 초적(草賊) 이연년(李延年) 형제의 난을 나주에서 무찔러 평정하였다. 이 공으로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로 승진하였는데, 이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로 전직되었다.
1249년(고종 36) 새로 집권한 최항(崔沆)은 김경손이 인망을 얻고 있는 것을 시기하여 백령도에 귀양보냈다. 1251년(고종 38) 최항이 계모 대씨(大氏)를 죽이고 대씨의 전 남편의 아들 오승적(吳承績)을 죽였는데, 김경손이 오승적의 인척이 된다는 핑계로 사람을 보내 바닷속에 던져 죽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려사(高麗史)』
-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 신안식, 『무인정권과 지방사회』 (경인문화사, 2002)
- ・ 윤용혁, 『고려 대몽항쟁사 연구』 (일지사, 1991)
- ・ 윤용혁, 「대몽항쟁기의 민란에 대하여」 (『사총』 30, 고려대학교 사학회, 198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경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