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박서

다른 표기 언어 朴犀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제23대 고종 때의 무신.

본관은 죽주(竹州:지금의 죽산). 아버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인석(仁碩)이다.

1231년(고종 18) 서북면 병마사로 있을 때 몽골의 살리타이(撤禮塔)과 대군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함신진(咸新鎭)과 철주(鐵州)를 공략하고 다시 안북부(安北府:安州)를 평정하여 그곳을 본영으로 삼고 계속 각지를 공격하여 구주에 이르렀다.

그는 삭주의 분도장군(分道將軍) 김중은(金仲溫), 정주(靜州)의 분도장군 김경손(金慶孫) 및 삭주·정주·위주(渭州)·태주(泰州)의 수령들과 함께 구주에 모여 성을 지켰다. 몽골군은 성을 포위하고 누거(樓車)와 목상(木床)에 병사를 태워 공격하고, 대포차로 성을 공격했으나, 그는 1개월 동안 이에 적절히 대응하여 적을 물리쳤다(→ 구주전투). 이에 몽골군은 구주를 포기하고 당시 최우(崔瑀)가 집권하고 있던 개성을 함락시켜 고종의 항복을 받아냈다. 같은 해 12월 다시 몽골군이 사신을 보내 항복을 권유하고 운제(雲梯)를 만들어 성을 공격했으나 모두 물리쳤다.

1232년 1월 왕명을 받은 후 군지병마사(後軍知兵馬使) 최임수(崔林壽), 감찰어사 민희(閔曦)가 와서 항목을 권유하자 3~4차례 거절했지만,왕명을 거역할 수 없어 항복했다. 그뒤 관직에서 물러나 있다가 문하평장사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박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