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817년(순조 17) |
사망 | 미상 |
경력 | 삼호정시단 동인 |
유형 | 인물 |
직업 | 시인 |
성별 | 여 |
분야 | 문학/한문학 |
요약 조선후기 『죽서시집』 발문, 『호동서락기』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호는 금원(錦園). 강원도 원주(原州) 출신. 삼호정시단(三湖亭詩壇)의 동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병을 잘 앓아 몸이 허약하므로 그의 부모가 글을 배우도록 했는데, 글을 뛰어나게 잘해서 경사(經史)에 능통했고 고금의 문장을 섭렵하여 시문에 능했다. 평생 남자로 태어나지 못하였음을 한하면서 1830년(순조 30) 3월 14세 때 남자로 변장하고 단신 금강산을 유람하여 견문을 넓혀 시문을 짓고, 이것이 인연이 되어 돌아와서 시랑이며 규당(奎堂)학사인 김덕희의 소실이 되었다. 1843년(헌종 9)에는 27세의 나이로 문명을 떨쳐, 세상에서 ‘규수 사마자장(司馬子長)’이라고 칭호하였다.
1845년(헌종 11)에는 김덕희와 함께 서도와 금강산을 유람하다가 1847년(헌종 13)에 돌아와 서울 용산에 있는 김덕희의 별장인 삼호정에 살면서 같은 처지의 벗들과 어울리면서 그들을 규합하여 시문을 지으면서 시단을 형성하였다. 이때의 동인들이 김운초(金雲楚)·경산(瓊山)·박죽서(朴竹西)·경춘(瓊春) 등이었다.
1850년(철종 1)에는 「호동서락기(湖東西洛記)」를 탈고하고 1851년(철종 2)에 『죽서시집』 발문을 썼다. 일찍부터 충청도·강원도·황해도·평안도 일대, 즉 호동서락(湖東西洛) 등의 명승지를 주유 관람하고, 또 내·외금강산과 단양일대를 두루 편력하면서 시문을 써서 시 「호락홍조(湖洛鴻爪)」 등이 수록된 시집 『호동서락기』를 남겼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운초시집(雲楚詩集)』
- ・ 『죽서시집(竹西詩集)』
- ・ 『조선녀속고(朝鮮女俗考)』(이능화, 동양서원, 1927)
- ・ 「삼호정시단의 특성과 작품」(김지용, 『아세아여성연구』16, 197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금원김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