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국조상례보편

다른 표기 언어 國朝喪禮補編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홍계희
창작/발표시기 조선 후기
성격 예서
유형 문헌
권수/책수 6권 6책
분야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고려대학교 도서관, 보성고등학교, 규장각 도서

요약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계희 등이 궁중예제에 관하여 편집한 예서.

내용

6권 6책. 활자본. 책머리에 영조 어제와 김재로(金在魯)의 봉교전서, 신만(申晩)의 봉교후서가 있다. 『국조오례의』 중에서 의주(儀註)가 없다든지, 옛날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는 것 등을 작도(作圖)하였다.

소상의주(小喪儀註) 전문을 보입(補入)하였고, 1751년(영조 27) 효순현빈(孝純賢嬪)의 상, 의소세손(懿昭世孫)의 대·소상 때의 의궤, 1757년 인원왕후(仁元王后)의 승하 때 거행된 예식에 대하여도 보편(補編)하였다. 고려대학교 도서관·보성고등학교·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는 왕의 고명(顧命) 절차로부터 죽은 왕에게 시책문(諡冊文)을 올리는 의식, 권2에는 계빈(啓殯)으로부터 담제(禫祭) 전까지와 사시(四時) 및 납향(臘享)에 관한 의식, 권3에는 명절 때의 종묘제례, 권4에는 초상 때부터 시책(諡冊)까지의 예식 절차와 상계(上啓), 권5에는 계빈 때 받는 수교(受敎)한 내용과 이 책의 편집 시말(始末), 권6에는 의소세손의 상 때 수교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밖에 권외(卷外)로 초종장례(初終葬禮) 때 쓰이는 기구, 제복 및 그 부속물에 관한 도설(圖說)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국조상례보편


[Daum백과] 국조상례보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