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광산김씨대덕5년준호구

다른 표기 언어 광산김씨대덕오년준호구 , 光山金氏大德五年準戶口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후기
창작/발표시기 1301년(충렬왕 27)
성격 문서, 관문서, 준호구
유형 문헌
분야 사회/촌락
소장/전승 개인소장(김준식)

요약 1301년 광산김씨 김련에게 발급된 문서. 관문서·준호구.

내용

김련이 47세 때인 1261년에 완성된 호적대장에 의하여, 그의 아들 사원(士元)이 등급(謄給)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김련의 준호구와 그의 손자 진(稹)의 추심호구단자(推尋戶口單子)로 되어 있는데, 필사 당시에도 원본의 상태가 나빠서 잘못 연결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필사해놓았으나, 원본의 체제를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등서(謄書)한 것으로 보이므로, 고려 후기 때 준호구의 원형 및 서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이 준호구의 구성을 보면, 기두(起頭: 첫머리)에 발급연월일·주소·준거장적(準據帳籍)을 표시하였고, 이어 행을 바꾸어 호주 김련의 직함·성명·고명(古名)·나이·본관을 쓰고 내외사조(內外四祖)와 병산(幷産: 子女) 등을 연서하였고, 그 뒤에 개성부의 판사·윤(尹)·소윤(小尹)·판관·참군(參軍)과 창(唱), 준(準)한 사람이 표시되어 있다.

기재한 내용과 순서는 조선시대의 것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인 구성은 『경국대전』의 준호구식과 대동소이하다. 고려 후기의 호적제도·준호구양식의 변천 등을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안동의 김준식(金俊植)이 소장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광산김씨오천고문서(光山金氏烏川古文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 『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최승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광산김씨대덕5년준호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