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지명/자연지명 |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요약 검단산은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에 있는 산이다. 해발고도는 658m로 한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팔당댐으로 활용되는 팔당협곡을 사이에 두고 북쪽의 예봉산과 마주하고 있다. 한남정맥의 한 지맥에 위치하여 검단산 남쪽으로 용마산과 능선으로 산지가 연결된다. 정상에서 주변의 팔당호,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류부인 양수리 등 수려한 경관을 조망할 수 있고 도시와 가까운 산이기 때문에 등산색들이 많이 찾고 있다.
개설
검단산의 높이는 658m이고, 하남시 동쪽 한강변에 솟아 있으며, 한강을 사이에 두고 예봉산(禮峰山, 679m)과 마주하고 있다.
명칭 유래
검단산의 이름은 백제 때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이곳에 은거한 데서 유래하였다. 또한, 각처에서 한강을 이용하여 한양으로 들어오는 물산이 이곳에서 검사를 받고 단속을 하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자연환경
한남정맥의 한 지맥으로, 그 끄트머리에 솟아 있는 산이다. 산행은 보통 하산곡동의 산곡초등학교에서 출발하는데, 처음에는 가파른 경사를 지나다가 능선을 타면 능선 곳곳에 억새 풀밭이 보이고 사방의 전경이 시원하게 열린다. 정상은 넓은 공터로 사방이 확 트여 있고, 팔당호를 비롯하여,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류 지점인 양수리 일대, 예봉산, 운길산, 도봉산, 북한산 등의 수려한 경치를 조망할 수 있다.
검단산에서 남쪽으로 용마산이 솟아있어 능선을 따라 산지가 이어져 있고, 북쪽으로는 한강을 건너 예봉산을 비롯한 산지가 발달해 있다. 따라서 사이에 팔당협곡이 위치하게 되고 이 협곡을 이용하여 팔당댐이 형성되어 있다. 서쪽으로는 중부고속도로가 지나고 북쪽 및 동쪽으로는 한강과 산지 사이를 따라 45번 국도가 지난다.
형성 및 변천
조선시대 광주목의 진산(鎭山)이었다. 본래 세종대왕의 능을 이곳에 쓰려다 여주로 옮겨가게 되어 닦아놓은 능터가 남아 있고,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의 묘도 있다.
현황
주로 많이 이용되는 산행코스는 산곡휴게소 · 밤골 입구 · 장군약수 · 용마봉 · 큰고개 · 검단산 정상 · 호국사 · 창우동 코스와, 창우동 · 호국사 · 85봉 · 검단산 정상 · 554봉 · 샘터 · 산곡초등학교 코스가 있다.
교통편은 대중교통으로는 서울에서 하남시까지는 버스를 이용하고, 하남시에서 수시로 운행하는 창우동행 시내버스를 이용하면(15분 소요) 된다. 수도권 지하철 5호선을 이용하면 하남검단산역까지 이동할 수 있다. 승용차로는 서울 올림픽대로를 이용하여 하남시 강변로를 지나 43번 국도를 타고 산곡초등학교 방면으로 진행하면 된다.
검단산은 대도시인 서울과 가까운 거리에 있고, 교통편도 편리해 부담없이 찾아갈 수 있는 가족산행지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곳이다. 대도시의 과밀화와 도시 팽창 및 인공적인 환경의 증가로, 도시 내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서, 검단산과 같은 도시 근교의 산은 자연공원으로서 풍경이 좋고 역사적인 의의가 있는 장소로, 도시민들의 휴식 및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어 도시생활의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다는 데서 그 의의가 크다.
최근 하남시와 인접한 서울 송파구의 몽촌토성, 풍납토성이 백제의 중심지가 한강 주변일 때의 수도인 위례성이라고 하는 역사고고학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1980년대에는 몽촌토성이 위례성이었다고 하는 주장이 주를 이루었으며, 1990년대부터는 풍납토성의 발굴을 통해 규모로 보아 풍납토성이 위례성이었다고 하는 주장이 집중되고 있다. 검단산의 경우에는 위례성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동쪽에 위치한 산지로 도성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韓國)의 산지(山誌)』(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7)
- ・ 『한국의 산 여행』(유정열, 관동산악연구회, 2007)
- ・ 김기섭, 「백제 한성도읍기 연구 동향과 과제(『백제문화』 44, 2011)
- ・ 한국의 산하(http://www.koreasanha.net/)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하남 가볼만한 곳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검단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