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2009년 중반, 중국 중부 및 동북부지역(장쑤성, 안후이성, 허베이성, 허난성, 산동성, 랴오닝성)에서 고열, 소화기증상,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다발성 장기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 집단 발생하였으며 2년간의 역학조사와 연구 끝에 2011년 SFTS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질병정보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해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 방법 :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kdca.go.kr)의 방법으로 신고
환자 및 접촉자관리
격리는 필요하지 않으나 혈액 등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로 인해 의료진 등에서 감염된 사례가 중국에서 보고된 바, 의료진은 환자 접촉시 표준주의 (standard precaution)원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역학적 특성
1. 세계 현황
2009년 중반, 중국 중부 및 동북부지역(장쑤성, 안후이성, 허베이성, 허난성, 산동성, 랴오닝성)에서 고열, 소화기증상,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다발성 장기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 집단 발생하였으며 2년간의 역학조사와 연구 끝에 2011년 SFTS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중국에서는 추가 조사를 통해 2011-2012년에 걸쳐 총 2,047명의 환자를 확인하였고 127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은 약 6% 정도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은 2013년 1월 최초사례 확인 후 과거 사례조사와 감시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환자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2. 국내 현황
2013년 5월 첫 사례를 확인한 이후 총 36건(17건 사망)이 보고되었습니다. 발생지역은 제주, 전남, 경북, 강원도 등으로 한반도 전역에 걸쳐서 발생하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9세로 고령층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습니다. 농부가 75.8%를 차지하였고 발생 시기는 5월부터 10월까지이며 7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습니다.
3. 전파 경로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물려서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일부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되는 경우 등에 있어 사람 간 전파가능성이 보고된 바가 있습니다.
임상적 소견
바이러스 노출에서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는 대개 6일 내지 14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적으로 고열(38-40℃)이 3-10일 지속되며, 혈소판감소 및 백혈구 감소와 구역,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발생 5일 후 림프절이 커져 1~2주 지속되기도 하며, 다발성장기부전이나 신경학적 증상, 혼수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사망률은 중국의 보고자료에 따르면 초기에는 치명률이 30%로 추정하였으나, 최근 자료에서 평균 10% 이하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진단검사의학 소견
진단은 환자검체(혈청 등)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거나 유전자를 검출하여 확진합니다.
혈액검사 소견으로는 혈소판감소, 백혈구 감소, 혈청 전해질 이상(저나트륨혈증, 저칼슘혈증), 혈청효소이상(AST,ALT, LDH, CK 상승), 소변검사 이상(단백뇨, 혈뇨) 등이 나타납니다.
치료
특이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의사의 판단에 따라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시행합니다.
예방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예방을 위해서 야외 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