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중앙과학
관 담수어류
도감

웅어

다른 표기 언어 Coilia nasus , 刀鲚 동의어 위여, 차나리
요약 테이블
분류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청어목(Clupeiformes) > 멸치과(Engraulidae)
학명 Coilia nasus(Temminck and Schlegel, 1846)
국내분포 우라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한다.
해외분포 일본, 중국, 대만 등의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

형태정보

크기 : 몸 길이는 약 22~30cm이다.
체색과 무늬 :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황백색을 띤다. 대부분의 지느러미는 무색투명하지만, 뒷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약간 어둡다.
주요 형질 : 몸은 길고 옆으로 심하게 납작하며, 배의 모서리 부분은 날카롭고 꼬리는 가늘며 길다. 등지느러미 연조 수 11~13개, 뒷지느러미 연조 수 95~97개, 종렬 비늘 수 70~79개이다. 주둥이 양 끝은 눈의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입은 커서 아가미 뚜껑의 뒤쪽까지 열 수 있으며, 아래턱은 위턱보다 짧다. 작고 둥근 비늘이 몸을 덮고 있다. 가슴지느러미 상단 6개의 연조는 분리되었고, 사상으로 길이가 매우 길어 뒷지느러미 앞까지 이른다. 배에는 예리한 인판이 있다.

생태정보

서식지 : 연안성 어종으로 강 하구 또는 강에서 서식한다. 낮에는 기슭에 살고 밤에는 깊은곳에 산다.
먹이습성 : 육식성으로 어린물고기와 동물성플랑크톤을 섭식한다.
행동습성 : 회유성 어류로 4~5월에 바다에서 강 하류로 거슬러 올라와 갈대가 있는 곳에서 6~7월에 산란한다. 구형의 알은 강 입구에서 부화된다. 부화한 어린 치어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바다에 내려가 월동한 후 다음 해에 산란지로 회유한다.

웅어 형태

가슴지느러미는 사상으로 매우 길어 뒷지느러미 앞까지 이른다.

ⓒ 국립중앙과학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웅어 형태

뒷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된다.

ⓒ 국립중앙과학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집필진 : 한정호, 박찬서, 안제원, 안광국, 백운기

참고문헌

  • ・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 ・ 김익수, 박종영, 2007,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 ・ 최기철, 이원규, 2010, 쉽게 찾는 내 고향 민물고기, 현암사
  • ・ 노세윤, 2011, 민물고기 쉽게찾기, 진선출판사

출처

국립중앙과학관:담수어류도감
국립중앙과학관:담수어류도감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담수어류의 형태와 생태를 사진과 함께 수록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웅어
다른 백과사전

바닷물고기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웅어국립중앙과학관:담수어류도감, 국립중앙과학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