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

특종을 잡다

다른 표기 언어 特種을 잡다

본 뜻

특(特) - 동물 중에서 특별한 것을 말한다. 그중에서도 희생(犧牲)에 쓸 세 살이나 네 살짜리 수소를 말한다.
종(種) - 식물에서 특이한 것을 말한다. 볍씨〔禾〕는 무거운〔重〕 것으로 쓴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바뀐 뜻

특종(特種)은 매우 특별한 것을 가리키는 통칭이 되었다. ‘특히’, ‘특별하다’란 말이 여기서 나왔다. 요즘에는 기자들이 다른 매체에 앞서 큰 뉴스를 발굴하는 것을 “특종했다”고 말한다.

보기글

ㆍ특종에 혈안이 되어 오보를 내는 기자가 많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재운 집필자 소개

1958년 충남 청양에서 태어났고, 중앙대 문예창작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4학년 때 쓴 『목불을 태워 사리나 얻어볼까』를 출간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92년에 첫 출간한 『소설 토..펼쳐보기

조규천 집필자 소개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후 중국 상해로 가 복단대학교의 어학 과정을 수료하고 같은 대학원 국제정치학과에서 '중국의 고대 정치사상'을 연구하고 수료했다. 이후 6년간 중국의..펼쳐보기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우리 한자어 1000가지 | 저자이재운 외 | cp명예담 전체항목 도서 소개

우리말 속 한자어의 생성 과정과 뜻풀이, 현재의 의미로 바뀌어 쓰이게 된 역사적 배경을 담은 한자어 본뜻 사전이다. 일상적으로 쓰는 한자를 가려 뽑아 어원부터 변천 과..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특종을 잡다우리 한자어 1000가지, 이재운 외, 예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