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

사대부와 대부

다른 표기 언어 士大夫와 大夫

본 뜻

숭록대부(崇祿大夫), 정헌대부(正憲大夫) 하는 식으로 대부(大夫)라는 작호가 붙는 종4품 이상의 관리를 가리킨다.

이 말이 나온 것은 주나라 시대 지배 계층이 왕, 경(卿), 대부(大夫), 사(士)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중 대부와 사를 합쳐 사대부라 하게 되었다.

바뀐 뜻

조선시대에는 문무 양반을 일컫는 일반적인 호칭으로 쓰였다. 출사와는 관계가 없다.

보기글

ㆍ사대부는 그 명예에 걸맞는 법도와 예의가 매우 복잡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재운 집필자 소개

1958년 충남 청양에서 태어났고, 중앙대 문예창작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4학년 때 쓴 『목불을 태워 사리나 얻어볼까』를 출간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92년에 첫 출간한 『소설 토..펼쳐보기

조규천 집필자 소개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후 중국 상해로 가 복단대학교의 어학 과정을 수료하고 같은 대학원 국제정치학과에서 '중국의 고대 정치사상'을 연구하고 수료했다. 이후 6년간 중국의..펼쳐보기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우리 한자어 1000가지 | 저자이재운 외 | cp명예담 전체항목 도서 소개

우리말 속 한자어의 생성 과정과 뜻풀이, 현재의 의미로 바뀌어 쓰이게 된 역사적 배경을 담은 한자어 본뜻 사전이다. 일상적으로 쓰는 한자를 가려 뽑아 어원부터 변천 과..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사대부와 대부우리 한자어 1000가지, 이재운 외, 예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