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본 뜻
성문을 굳게 잠그고 전투를 하지 않는 것을 농성이라고 한다. 고대 전투에서는 성문이 열리지 않으면 실질적인 전투가 어려웠다.
바뀐 뜻
어떠한 목적을 위해 집이나 방 혹은 자기가 있는 자리를 떠나지 않고 붙박이로 있는 것을 뜻한다. 국가적인 시험을 관리하는 교수와 교사들이 집에 가지 않고 특정 지역에 머무는 것도 농성이라고 한다. 농성은 한 군데에 모여 꼼짝하지 않는 것이고, 시위(示威)는 함성이나 구호로 자신들의 세를 과시하는 것이다.
보기글
ㆍ농성이나 시위를 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구호가 ‘결사반대’이지만 실제로 ‘결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참조어〉 시위(示威)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전체항목
도서 소개
우리말 속 한자어의 생성 과정과 뜻풀이, 현재의 의미로 바뀌어 쓰이게 된 역사적 배경을 담은 한자어 본뜻 사전이다. 일상적으로 쓰는 한자를 가려 뽑아 어원부터 변천 과..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농성하다 –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이재운 외, 예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