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순우리말 |
---|
본 뜻
숭늉은 한자어 ‘숙랭(熟冷)’에서 나온 말이다. ‘익을 숙(熟)’에 ‘찰 냉(冷)’으로 이루어진 이 말은 곧 ‘찬물을 익힌 것’이라는 뜻이다. 이 ‘숙랭’이 지방에 따라 ‘숭냉’, ‘숭냥’, ‘숭넝’, ‘숭능’ 등으로 말소리가 변해서 사용되었다.
바뀐 뜻
지금은 ‘숭늉’이란 말이 고유어처럼 쓰이고 있지만, 그 기원은 한자어 ‘숙랭’에서 온 것이다. 밥을 하고 난 뒤 솥에 눌어붙은 누룽지에 그대로 물을 부어 데워낸 물을 숭늉이라 하는데, 그 구수한 맛 때문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후 음료로 사랑을 받아왔다.
보기글
ㆍ숭늉이라고 하면 아궁이에 불을 때는 가마솥에서 오랫동안 팔팔 끓인 것이 제격이지.
ㆍ그는 다 식어버린 커피를 숭늉 마시듯 단숨에 들이켰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우리말 1000가지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일상 생활에서 뜻을 잘 모르고 자주 쓰는 말이나 어렴풋이 알고 있어 엉뚱한 데 갖다 붙여 쓰는 말, ‘아하, 이런 뜻이 있었구나!’ 하고 무릎을 치게 되는 말 등을 가..펼쳐보기
다른 백과사전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숭늉 – 우리말 1000가지, 이재운 외, 예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