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연합연감

정부에서 기사회생한 여성부

2008년 연감 보러가기 / 사회 / 노인ㆍ여성ㆍ청소년 / 여성
툴바 메뉴

이명박 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정부 조직개편 논의 과정에서 여성가족부는 통폐합 대상 1순위로 거론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여성가족부를 존치, 강화하겠다는 의견을 밝혔지만 인수위가 보건복지가족부와의 통합에 무게를 싣자 여성단체와 학계 등 여성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 30여 개 여성단체들은 ‘여성가족부 존치를 촉구하는 모임’을 구성하고 여성가족부 존치와 성평등사회 실현을 촉구하는 범시민 서명운동을 선포했으며 김영정, 김장숙, 이연숙 전 정무2장관과 윤후정, 강기원 전 여성특위 위원장, 한명숙, 지은희, 장하진 전ㆍ현직 여성장관 등 8명도 ‘여성부 폐지 철회’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결국 보육과 가족 업무를 다시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하고 여성가족부는 ‘여성부’로 축소되면서 출범 당시의 초미니 부처로 회생했다. 2001년 직원 102명으로 출범한 여성부는 2005년 여성가족부로 확대 개편됐다가, 3년이 채 못 돼 가족 업무를 다시 떼어 내고 여성부로 회귀한 것이다.

부처의 존폐 논란과 함께 여성부 장관 내정자가 낙마하는 등 악재도 겪었다. 처음 여성부 장관으로 내정된 이춘호 전 한국자유총연맹 부총재는 부동산 투기 논란에 휘말리면서 결국 사퇴했고,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을 지낼 당시 서울시 산하 기관인 서울여성플라자를 운영했던 변도윤 대표가 장관으로 낙점됐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관련연감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