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2008년 미국경제는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신용경색으로 기업투자 및 개인소비가 위축되면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됐다. 2ㆍ4분기에는 세금환급에 따른 개인소비 증가 및 수출 호조 등으로 성장세가 일시 확대되기도 했으나 하반기 들어 경기침체가 심화됐다. 3ㆍ4분기에는 금융불안이 실물경제로 빠르게 전이됨에 따라 실질 GDP 성장률이 -0.5%(전기대비 연율 기준, 이하 동일)를 기록했으며 4ㆍ4분기에는 하락폭이 더욱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2008년 성장률은 2001년(0.8%) 이후 가장 낮은 1.1%에 그쳤다.
수요부문별로 보면 개인소비는 고용감소 및 고유가로 소비여력이 약화된 데다 신용경색 지속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자금의 가용성도 악화됨에 따라 2007년 4ㆍ4분기 이후의 둔화세가 가속됐다. 소매판매도 세금환급이 마무리된 7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했다. 특히 자동차 판매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한편 소비자신뢰지수는 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2ㆍ4분기 중 일시 반등하기도 했으나 2007년 하반기 이후의 하락 추세가 지속됐다. 2008년 들어 감소세로 돌아선 설비투자는 신용경색 및 기업들의 투자심리 악화로 2ㆍ4분기 이후 감소세가 확대됐다.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비방위자본재(항공기 제외) 수주도 하반기 들어 감소로 돌아섰다. 반면 비주거용 건설투자는 상반기중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하반기 들어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주택건설투자는 주택판매 부진 및 경기침체 등으로 가격하락세가 지속되면서 2007년에 이어 두 자릿수의 감소세를 지속했다. 주택판매는 신축주택 판매가 큰 폭으로 감소한 가운데 기존주택 판매도 부진했다. 선행지표인 주택착공호수는 하반기 들어 감소세가 더욱 확대됐다. 연간 환산치 기준으로 11월 중 주택착공호수는 62만5천 호로 통계 작성(1959.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편 주택재고는 처분기간(주택재고량/월판매량) 기준으로 통상적 수준(4~5개월)의 2배를 상회하는 10~11개월의 높은 수준을 지속했다.
대외거래 동향을 보면 상품과 서비스를 합한 총수출은 상반기 중 호조를 보였으나 하반기 들어 미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되고 해외수요도 부진하면서 증가세가 둔화됐다. 그러나 총수입이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수요 위축으로 감소세를 지속함에 따라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플러스를 나타냈다.
산업생산활동을 보면 제조업생산은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 및 재고조정 등으로 감소세가 더욱 확대됐다. 제조업가동률도 2007년 7월의 80.1%를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서 11월에는 72.3%로 낮아졌다. 업종별로는 컴퓨터 및 전자제품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이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특히 자동차업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고용사정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취업자수가 감소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등 크게 악화됐다. 비농업부문 취업자수는 금년 들어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했다. 상반기에는 건설업 및 제조업을 중심으로 46만1천 명 감소(월평균 -7만7천 명)했으며 하반기 들어서는 서비스업 취업자수도 감소로 돌아서면서 9월 이후 감소세가 크게 확대됐다. 실업률은 1월의 4.9%에서 11월에는 6.7%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신규실업수당 청구자수는 1월 주간평균 33만4천 명에서 11월 52만5천 명으로 1.6배 급증했다.
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는 에너지 및 식료품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 오름세가 크게 확대됐으나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7월을 정점으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이 7월 중 5.6%에서 11월에는 1.1%로, 생산자물가도 같은 기간중 9.9%에서 0.4%로 낮아졌다. 한편 식료품 및 에너지가격을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는 10월 이후 둔화세를 보였으나 근원생산자물가는 원가 상승요인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하반기 들어서도 오름세가 확대됐다.
미국 주요 지표(전기대비, %)
2007년 | 2008년 | |||||
1/4 | 2/4 | 3/4 | 4/4 | |||
GDP 성장률(연율) | 2.0 | 1.3 | 0.9 | 2.8 | △0.5 | △3.8 |
-개인소비지출 | 2.8 | 0.3 | 0.9 | 1.2 | △3.8 | △3.5 |
-기업고정투자 | 4.9 | 1.8 | 204 | 2.5 | △1.7 | △19.1 |
-주거용 건축투자 | △17.9 | △20.8 | △25.1 | △13.3 | △16.0 | △23.6 |
산업생산 | 1.7 | △1.8 | 0.1 | △0.9 | △2.3 | △3.0 |
소매판매 | 4.2 | △0.4 | △0.3 | 0.9 | △1.3 | △6.8 |
비농업취업자수(천명) | 1,096 | △2,589 | △247 | △214 | △597 | △1,531 |
신규주택 판매 | △26.2 | △37.6 | △13.8 | △7.5 | △10.9 | △18.9 |
소비자 물자 | 2.9 | 3.9 | 4.1 | 4.4 | 5.3 | 1.6 |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