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3·1 운동

다른 표기 언어 三一運動 동의어 기미독립운동, 己未獨立運動

요약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항거하여 거족적으로 일으킨 민족 해방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서울 탑골 공원에 위치한 3·1 운동 서판

ⓒ Cinnamon/wikipedia | CC BY-SA 3.0

일제는 한국사회를 식민지 지배구조로 재편하기 위하여 통치기구인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폭압적인 무단통치를 실시했다. 정치·사회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일제의 수탈이 극에 달해, 극소수의 친일파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국민이 일제로부터 피해를 당했다. 그 결과 일제에 대한 분노와 저항은 전민족적으로 고조되었다.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가 대두로 민족해방의 기회로 살리고자 하는 노력이 국외에서 시작되었고, 이러한 해외의 움직임을 알게 된 손병희?최린 등 천도교측 인사, 이승훈 등 기독교계 인사, 불교계 한용운이 참여하여 국내 독립선언의 주축이 되었다. 고종의 장례일인 3월 1일 정오 서울을 비롯하여 평양·진남포·안주·의주·선천·원산 등지에서 동시에 독립선언식이 이루어짐으로써, 전국적인 민족해방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3·1 운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