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해해류 黃海海流쓰시마 해류의 일부가 제주도 서부해역을 지나 황해 남부로 북상하는 난류. 내용 황해해류는 반시계방향으로 환류(還流)하기 때문에 흑산도(黑山島)에서 격렬비열도(格列飛列島)와 백령도(白翎島)의 서쪽을 거쳐 중국의 랴오둥[遼東]·산둥[山東]반도를 지난 후, 중국 본토의 동안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다. 일반적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해류 海流아열대난류의 영향을 받는다. 러시아의 연해주 연안을 따라 내려오는 리만해류는 북한한류(北韓寒流)로 이어지고, 북해도 동쪽 태평양 연안에는 오야시오해류가...流]로부터 시작되어 제주도 남방에서 다시 나누어진다. 일부는 황해로 북상하여 황해난류(黃海暖流)를 이루고, 일부는 대한해협을 통과하여 동해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서해연안류 西海沿岸流底層冷水)·서해연안류 등이 있는데, 계절에 따라 그 분포가 다르다. 서해연안류와 관계가 깊은 것은 황해난류(黃海暖流)이다. 황해난류는 중국을 따라 북상하는 쿠로시오 해류(黑潮海流)의 지류이다. 쿠로시오 해류는 제주도 남쪽에서 분류되어 일부는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로 흘러들어 동한난류(東韓暖流)가 되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바다알려져 왔다. 이는 해수의 수온 · 염분 분포 등에 근거를 두고 추론한 것으로, 직접 유속(流速)을 측정한 자료로는 인지할 만한 해류의 분포를 알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황해에 탁월한 해류가 존재하느냐에 관하여는 더 많은 연구 · 관측이 있어야 결론이 나리라 본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황해의 해수...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옹진반도 甕津半島침강한 복잡한 해안으로 흥미반도(興嵋半島)·순위반도(巡威半島)·창린반도(昌麟半島)·용호도·순위도·어화도·기린도·창린도 등이 있다. 근해에는 황해해류가 흐르기 때문에 기후가 온화하다. 지형은 일반적으로 남서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반도에는 곳곳에 분지들이 있으며 대부분 지역에 해발 100m 안팎...
- 성격 :
- 반도
- 유형 :
- 지명
- 면적 :
- 면적 약 580㎢, 동서 길이 58㎞, 남북 길이 약 16㎞
- 소재지 :
- 황해남도 옹진군, 황해남도 강령군, 황해남도 태탄군, 황해남도 벽성군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한반도와 근해의 어류바닥이 펄·모래·암석 등으로 다양하며, 비교적 서해보다 깊고, 무수히 많은 섬이 발달되어 있는 등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난류와 중국 동해 또는 황해 남부의 해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해는 동해와는 대조적으로 수심이 매우 얕고 간만의 차가 매우 크며 염분농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그리고 바닥은 주로 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