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도대 黃道帶, zodiac
    황도의 양쪽 9° 넓이로 하늘을 두르는 띠.|달과 주요행성들의 궤도는 모두 황도대 안에 놓여 있다. 점성학에서 사용되는 황도 12궁은 각각 황도대의 1/12(30°)을 차지한다. 이 황도 12궁들은 태양이 실제로 지나가는 천문학적 별자리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별자리들의 크기와 모양은 불규칙하며, 태양도 황도 12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황도대 黃道帶, zodiac
    지구의 관점에서 보면 태양은 밤하늘의 별들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태양이 지나는 궤도를 황도, 황도에서 위 아래로 각각 9도 내의 범위를 황도대라고 부른다. 예전에는 황도 십이궁도가 태양의 궤도에 따라 두 개의 별자리로 나누어져 있었다. 본래 황도 십이궁도의 목적은 시간을 계산하기 위함이었으나, ...
    도서 손안의 우주 | 태그 우주
  • 황도대 Zodiac, 黄道帯
    황도대는 점성술과 역사적 천문학 모두에서, 한 해 동안에 천구를 가로지르는 태양의 외견상 경로인 황도를 중심으로 하는 천체 경도의 30°씩의 구간들의 원이다. 천구의 위도에서 측정될 때, 달과 가시적 행성의 경로 또한 황도의 남쪽이나 북쪽으로 8~9° 범위인 황도대의 띠 내에서 황도와 가깝게 유지된다. 역사적...
    도서 위키백과
  • Zodiac 황도대, 黄道帯
    In both astrology and historical astronomy, the zodiac (Greek: ζῳδιακός, zōidiakos) is a circle of twelve 30° divisions of celestial longitude that are centered upon the ecliptic, the apparent path of the Sun across the celestial sphere over the course of the year. The paths of the Moon an...
  • 항성황도대와 회귀황도대 Sidereal and tropical ..
    연(年, years)"의 다른 정의를 기술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것들은 점성술에서 황도 좌표계 두 가지 체계를 의미하는 용어로도 사용되는데, 각각의 황도대를 항성 황도대(恒星 黃道帶, sidereal zodiac)와 회귀 황도대(回歸 黃道帶, tropical zodiac)라고 칭한다. 두 가지 모두는 황도를 천문학의 성좌들의 이름을...
    도서 위키백과
  • 덴데라 황도대 Dendera zodiac, 丹達臘黃道帶
    덴데라 황도대(Denderah zodiac)는 덴데라 신전 단지에 있는 오시리스에게 봉납된 예배당의 주랑 현관에서부터 전해지는 황소자리(소)와 천칭자리(천칭)의 형상을 포함하는 널리 알려진 이집트 저부조 조각 작품이다. 그 예배당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후기에 개설되었고, 그곳의 주랑 현관은 황제 티베리우스에 의해서...
    도서 위키백과
  • 고대 중동 문명이 알고 있던 천문학의 범위는?
    알고 있었다. 지구라트(Ziggurat)라 불리는 높이 솟은 사원은 천문 관측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랍 천문학자들은 1000년 전 이슬람 제국 시대에 거대한 천문대들을 건축했다. 그들은 황도대의 12별자리를 만들었으며 오늘날 우리는 하늘에서 가장 잘 알려진 많은 별들의 이름에 아라비아식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띠 (생초) Chinese zodiac, 生肖
    대한 체계적인 개요인데, 중국과 베트남, 한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통용된다. 영어 문화권에서 통용되는 용어로 직역하면, 중국 황도대(中國 黃道帶, Chinese Zodiac)이다. 여기에서 쓰인 용어, "황도대"는 서양의 황도대와의 몇 가지의 유사성을 반영한다. 그 둘은 모두 12 부분으로 분할되는...
    도서 위키백과
  • 점성술의 별자리 Astrological sign, サイン (占星術)
    별자리의 순서는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사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이다. 황도대의 개념은 바빌로니아 점성술에서 유래했고, 그 후에 헬레니즘 문화에 영향을 받았다. 점성술에 의하면, "위와 같이 아래도"의 원리로 하늘의 현상은 인간의 행동...
    도서 위키백과
  • 바빌로니아의 항성 일람표 Babylonian star catalogues
    삼각형자리에 안드로메다자리 감마가 더해진 최초의 바빌로니아 별자리인 물아핀("쟁기자리")의 이름을 딴 물.아핀을 포함한다. 특히 그것은 17~18개의 황도대 별자리를 목록화했다. 더 늦은 일람표에는 황도대의 별자리가 12개로 줄어들어 있는데, 그것은 이집트와 그리스들에 의해 모방된 것으로, 여전히 현대 별자리...
    도서 위키백과
  • 월터 버그 Walter Berg (astrologer)
    월터 버그(Walter Berg, ウォルター バーグ, 1947년생)은 영국의 점성가이며, 실제 황도대의 사실상의 성좌를 사용하는 항성황도대 체계인 그의 13 별자리(13성좌)의 항성황도대 점성술 체계로 알려져있다. 버그는 잉글랜드 랭커셔주의 촐리에서 배리 파킨슨(Barry Parkinson)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1988년과 1994년...
    도서 위키백과
  • Sidereal and tropical astrology 항성황도대와 회귀황도대
    Sidereal and tropical are astrological terms used to describe two different definitions of a "year". They are also used as terms for two systems of ecliptic coordinates used in astrology. Both divide the ecliptic into a number of "signs" named after constellations, but while the sidereal system...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황도대
태양의 황도 주위에 걸쳐 있는 십이궁도의 그림
랭부르 형제, 〈황도대 인간〉, 15세기 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