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호동왕자 好童王子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3대 대무신왕의 첫째 아들인 왕자.|내용 대무신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갈사국왕(葛思國王)의 손녀로, 대무신왕의 두번째 부인이었다. 얼굴이 수려하여 부왕으로부터 각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그래서 이름을 ‘호동’이라 하였다고 한다. 32년 4월 옥저로 놀이를 나갔다가 낙랑왕(樂浪王)최리(崔...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32년(대무신왕 15)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낙랑 정복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호동 (관련어 호동왕자) Prince Hodong of Goguryeo, 好童
    ? ~ 32년 음력 11월)은 고구려의 제3대 국왕 대무신왕의 아들이다. 어머니 해씨부인은 갈사왕의 손녀이자 대무신왕의 차비(次妃)이다. 낙랑 정벌에 공을 세웠으나 원비(元妃) 소생의 이복형제 해우(훗날 모본왕)와의 태자 다툼에서 패하여 자살하였다. 아내 낙랑공주와의 이야기가 창작물의 주요 소재가 되고 있다. 대무...
    도서 위키백과
  • 고구려 호동왕자 낙랑 정벌
    고구려의 호동왕자가 낙랑을 공격해 함락시켰다. 전설에 따르면 호동왕자는 대무신왕의 둘째 부인이 낳은 아들로, 옥저에 사냥을 나갔다가 낙랑 태수 최리의 딸 낙랑공주와 사랑하는 사이가 됐다. 당시 낙랑에는 적군의 침입을 저절로 알리는 북(자명고)이 있어 정벌하기 어려웠다. 호동은 낙랑공주를 꾀어 자명고를...
    시대 :
    32년
    국가/대륙 :
    한국
  • 낙랑공주 樂浪公主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왕자와 혼인한 후, 호동왕자의 권유에 의해 자명고를 찢어 낙랑을 멸망하게 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호동왕자와의 인연 낙랑공주는 낙랑국의 왕 최리의 딸을 부르는 명칭으로,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낙랑공주에 대한 기록은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고구려...
    출생 :
    미상
    사망 :
    32(대무신왕 15)
    국적 :
    고구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구려
  • 왕자호동 王子好童
    대본은 『삼국사기』에 실려 전하여오는 고구려의 설화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내용은 국가와 사랑을 놓고 번민하다가 비극적인 종말을 맞는 고구려의 왕자호동(好童)’에 관한 것이다. 전체 4막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극적인 구성력이 약하고 음악적인 면에서도 창가의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예술적인 면에서도...
    시대 :
    현대
    저작자 :
    현제명
    창작/발표시기 :
    1954년 11월
    성격 :
    오페라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호동왕자와 낙랑공주 Prince Hodong and the Pr..
    여러 문제호동왕자와 낙랑공주에게는 사랑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호동왕자와 낙랑공주가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있다.대무신왕이 일부러 낙랑공주를 며느리로 맞이하고 뿔나팔과 자명고를 부서뜨리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몇몇 역사학자들도 대무신왕이 영토 확장의 욕심이 있었으니 그럴...
    도서 위키백과
  • 호동 호동왕자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서기 32년, 낙랑공주에게 낙랑국의 보물인 자명고와 나팔을 찢게 하여 고구려가 낙랑을 병합하는 데 공을 세웠다. 어머니는 갈사왕의 손녀로 대무신왕의 둘째 부인이었다. 낙랑국 왕 최리가 딸 낙랑공주를 아내로 삼을 것을 권해 혼인했으며, 이를 이용하여 낙랑국을 정복하는 공을 세웠다. 그...
    출생 :
    미상
    사망 :
    32(대무신왕 15)
    국적 :
    고구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왕자 호동과 낙랑공주
    영화 정보 《왕자 호동과 낙랑 공주》는 한국에서 제작된 김소동 감독의 1956년 영화이다. 김동원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고 이철혁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김동원 조미령 김승호 황정순 이해랑 조명: 고해진 녹음: 최칠복 미술: 강성범 의상: 이해윤 소품: 이상필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고구려 유리왕의 아들 - 민중왕 고구려 유리왕의 아들 또는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 재사왕자 고구려 유리왕의 아들 - 여율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 호동왕자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 모본왕 고구려 모본왕의 아들 - 고익 재사왕자의 아들 - 고구려 태조대왕 재사왕자의 아들 또는 고구려 태조대왕의 서자...
    도서 위키백과
  • 낙랑공주 樂浪公主
    내용 낙랑왕 최리(崔理)의 딸이다. 서기32년 옥저로 놀이를 왔다가 최리를 따라 낙랑에 온 고구려 호동왕자(好童王子)와 혼인하였다. 당시 낙랑에는 적병이 침입해오면 스스로 울려 이를 알리는 북과 뿔피리가 있어 정복하기가 어려웠는데, 호동왕자의 부탁으로 몰래 북과 뿔피리를 파괴하여 고구려군대로 하여금 낙랑을...
    시대 :
    고대/초기국가
    출생 :
    32년(대무신왕 15)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낙랑국 멸망
    직업 :
    공주
    분야 :
    역사/고대사
  • 김소동 金蘇東
    되었다. 한국전쟁 때는 부산에서 이청기·유두연·이진섭·전창근 등과 함께 한국영화평론가협회를 결성하였다. 1956년 의상의 화려함이 돋보이는 사극 〈호동왕자와 낙랑공주〉를 감독하였고, 1957년 나운규 감독 20주기 추모작인 〈아리랑〉을 감독하였다. 〈아리랑〉은 작품성과 흥행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홍콩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고구려 3대 대무신왕 즉위
    고구려 2대 유리왕이 죽고 그의 아들 무휼이 대무신왕(재위 18년~44년)으로 즉위했다. 대무신왕은 동부여를 공격해 대소왕을 죽이고 왕자 호동을 시켜 낙랑을 공략했으며(고구려 호동왕자 낙랑 정벌 참조), 개마국을 병합해 영토를 확장했다. 대무신왕이 등용한 을두지는 28년 후한이 고구려를 침략하자 오래 버티는...
    시대 :
    18년
    재위 :
    18년~44년
    국가/대륙 :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1956년에 개봉한 영화 (감독 김소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