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인릉 사적 제194호, 獻仁陵
    서초구 헌인릉길에 자리 잡은 헌인릉은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을 합쳐 이름 붙인 곳이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우거진 숲이 일품이며, 헌릉에는 아름다운 오리나무 숲에 둘러싸인 습지가 있다. 원래 왕릉 뒤에는 우거진 숲을 계획적으로 조성했고, 특히 ...
  • 인릉 헌인릉, 仁陵
    인릉은 제23대 순조(1790~1834)와 순원왕후(1789~1857) 김 씨의 합장묘로 태종의 묘와 조성 시기가 400여 년이나 차이 난다. 순조는 조선 왕으로서는 유달리 행복한 상황에서 태어났다. 『정조실록』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신시(申時)에 창경궁 집복헌에서 원자가 태어났으니, 수빈 박 씨가 낳았다. 이날 새벽에 금...
  • 인릉 헌인릉, 仁陵
    조선왕조 제23대 임금인 순조와 왕비 순원왕후 김씨의 능.|사적 제194호.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다. 1834년 순조가 죽자 파주 교하의 장릉 국내에 초장했다가 풍수지리상 불길하다는 이유로 1856년(철종 7) 지금의 자리인 헌릉 오른쪽으로 이장했으며, 다음해 왕비가 죽자 합장했다. 능제도는 외형상 일반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역사 일반
  • 헌인릉 Heonilleung, 獻仁陵
    문화재 정보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조 왕릉이다. 이 곳에는 조선 3대 임금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능인 헌릉, 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능인 인릉이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원래는 태종과 세종이 합장된 왕릉이었으나 7대...
    도서 위키백과
  • 서울 헌릉(태종·원경왕후)과 인릉(순조·순원황후)
    헌릉은 조선 3대 태종(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의 형식으로,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태종, 오른쪽(동쪽)이 원경왕후의 능이다. 1420년(세종 2) 원경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원경왕후...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내곡동)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94호(1970.05.26 지정)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 헌인릉 생태경관보전지역(오리나무림)
    헌인릉 생태경관보전지역은 대모산의 남사면 하단 산자락 헌인릉 아래쪽으로 17,000여 평의 오리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는 숲이다. 대모산 남사면의 넓은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로 인해 수위가 높고, 저지대로 토심이 깊어 양호한 환경조건을 갖추어 서울시에서 보기 드문 대규모 오리나무 군집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문화재 지정 :
    생태경관보전지역(2005.11.24. 지정)
  • 조선왕릉관리소 중부지구관리소
    사무소를 서울·선정릉지구관리소로 개편. 동구릉지구관리사무소 소속으로 태강릉출장소를, 선정릉지구관리사무소 소속으로 헌인릉출장소를 설치. 1972년 11월 16일: 헌인릉출장소를 헌인릉지구관리사무소로 승격하고, 선정릉지구관리사무소를 선정릉출장소로 개편하여 헌인릉지구관리사무소의 소속기관으로 편입...
    도서 위키백과
  • 희릉 사적 제200호, 禧陵
    없으므로 중종도 감탄하며 "왕비가 무던하고 지조가 높고, 태사의 덕이 이보다 더할 수는 없다"라며 끔찍이 대했다고 한다. 장경왕후의 처음 능지는 태종의 헌인릉 옆에 있는 산줄기였다. 그런데 장경왕후의 장사는 그야말로 속전속결로 사망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매장을 완료했다. 원래 왕과 왕비는 5개월 장을...
  • 헌릉 獻陵
    조성하였으나 1469년에 여주로 옮겨졌다. 1856년(철종 7)에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의 인릉(仁陵)이 천릉하여 서쪽에 자리잡게 되어, 오늘날 헌인릉으로 알려졌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헌릉과 인릉’으로, 2013년 7월에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형태와 특징 원경왕후의 능...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어제)헌릉전알일윤음 (御製)獻陵展謁日綸音
    무신과 환관이 서로 내통하는 잘못된 습속을 엄히 금하라는 하교[獻陵展謁日綸音]」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어제)경제헌릉재실 (御製)敬題獻陵齋室’ <능원 6> 현판과 같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헌인릉에서 보관해왔는데, 헌릉 어느 전각에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세로: 93cmcm, 가로: 207cmcm
    재질 :
    피나무
  • (어제)경제헌릉재실 (御製)敬題獻陵齋室
    화답하는 시가를 지어 바치게 하였다고 한다. 이 글은 『弘齋全書』(홍재전서)7권 시(詩) 3에 「헌릉(獻陵)의 재실(齋室)에 삼가 제하다. 소서를 아울러 쓰다[敬題獻陵齋室 幷小序]」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헌인릉에서 보관해 오던 것으로 헌릉 재실에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세로: 82.6cmcm, 가로: 180.3cmcm
    재질 :
    피나무
  • (어제)칙유릉사제관 (御製)飭諭陵司齋官
    간행하여 종묘(宗廟), 사직(社稷), 각릉(各陵), 각전(各殿)의 재실에 걸어두게 하였으며 받드는 곳에 따라 실정에 맞게 내용의 차이를 두었다. 이 현판은 헌인릉에서 보관해 오던 것인데 영조 때에는 인릉(순조와 순원왕후의 능)이 없었으므로 헌릉 재실에 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세로: 45.8cmcm, 가로: 140.5cmcm
    재질 :
    피나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