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정과도정부 許政過渡政府관리하는 것이 임무였다. 허정이 구성한 과도내각은 정치권력의 장악에 적극적 관심이 없었던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로 이루어졌다. 그들은 대체로 국민들로부터의 정치적 인기나 또는 조직화된 정치세력 기반 구축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할 아무런 이유도 없었던 인사들이었다. 이것이 허정의 과도내각에 참여했던...
- 시대 :
- 현대
- 성격 :
- 과도정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60년 4월 27일
- 폐지일 :
- 1960년 6월 16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대한민국 제2공화국 Second Republic of Korea, 第二共和国 (大韓民国)장관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제1차 과도 권한대행 체제 출범. 5월 29일 : 이승만, 하와이 망명. 6월 15일 : 제3차 헌법개정. 제2공화국 출범. 곽상훈 권한대행 체제 출범. 6월 23일 : 곽상훈 대통령 권한대행이 총선거 출마를 위해 사표 제출. 제2차 과도 권한대행 체제 출범. 7월 29일 : 국회의원 총선거 8월 8...도서 위키백과
-
-
허정 許政대통령이 하야한 뒤 외무부장관을 겸직하면서, 과도정부의 수반[대통령권한대행]이 되었다. 하야한 이승만을 하와이로 망명하게 하였으며, 선거를 치루어 새로 발족한 내각에 권한을 인계하였다. 1963년 ‘국민의 당’을 창당하여 대표최고위원이 되어 대통령후보로 내정되었으나 윤보선(尹潽善)과 야당후보단일화를...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6년
- 사망 :
- 1988년
- 경력 :
- 외무부장관, 대통령권한대행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오일륙 五一六, May 16 coup반대와 허정 과도정부의 미온적 대응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다. 특히 당시 주한미군 사령관이었던 매그루더는 송요찬의 사임 직후인 1960년 5월 25일부터 29일까지 거의 매일 공개적으로 4·19혁명으로 인한 정치적 변동이 군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며 정군운동을 견제하는 발언을 했다. 장면 정권 하에서도 정군은...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1년 5월 16일
- 성격 :
- 군사쿠데타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63년 12월 16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관련 인물/단체 :
- 박정희, 김종필, 장면, 윤보선, 장도영
- 관련 장소 :
- 서울
-
허정 許政1959년에는 한일 회담 수석대표로 임명되었다. 1960년 4월 이승만에 의해 외무부장관으로 기용되었다. 허정은 1960년 4·19 혁명 후 과도 정부의 대통령 권한 대행 겸 내각 수반이 되었다. 그는 ‘혁명적 목표를 비혁명적 방법으로 수행한다’는 슬로건을 표방하고 활동하였다. 허정 과도 정부는 시민들의 국회 해산...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의원내각제 議院內閣制부여함으로써 의원내각제적 요소가 추가되었다. 본격적인 의원내각제는 1960년 4·19 혁명으로 등장한 제2공화국에서 나타났다. 4·19 혁명 이후 허정을 수반으로 하는 과도정부는 의원내각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헌법개정을 실시(1960.6.15.)하였으며, 개정된 헌법에 따라 성립된 제2공화국은 명실상부한 의원내각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제2공화국이 단명한 이유, 윤보선 vs 장면그럼 나랏일은 누가 이끌어 나가냐고요? 국회에서 선출된 수상이 각부 장관으로 구성된 내각의 대표가 되어 운영하지요. 이러한 정치 체제를 ‘내각책임제’라고 해요. 허정 과도정부는 ‘제1공화국이 독재 국가로 변질된 이유는 대통령에게 권한이 너무 과도하게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진단했어요. 그래서 해결 방안...
-
-
4·19혁명 사일구혁명, 四一九革命수행할 짐을 떠맡으려고 하지 않았다. 이리하여 국회 내 양당의 지도자들은 허정 자신이 생색 안나고 어려운 과제를 떠맡기에 주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허정이 과도정부의 수반에 앉아야 한다고 촉구하였던 것이다. 허정은 내각에 민주당 의원을 참여시키려 하였으나 그들은 직접 참여하지는 않고, 허정정부에 대하여...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0년 4월 19일
- 성격 :
- 혁명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관련 인물/단체 :
- 이승만정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