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를 인장 하거나 압축하거나 할 때, 변형양이 힘에 비례하지 않게 되는 점. 예를 들면 금속의 환봉(丸棒)을 당긴 경우, 신장에 대해서 그 힘은 정비례적으로 커지지만, 어느 시점부터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어, 이곳을 항복점이라고 부른다. 이윽고 다시 신장에 대해서 힘은 커지게 되고, 그 힘이 피크를 맞이한 뒤에 ...
기계공학이나 금속공학에서 인장된 고체 물질이 변형, 즉 영구변형을 시작하는 하중의 크기를 초기 단면적으로 나눈 수치.|이는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고체 내의 응력과 같다. 탄성한계라고도 불리는 항복점은 탄성변형의 끝인 동시에 소성변형이 시작되는 영역이다. 항복점보다 작은 응력을 가했다 제거하면 ...
aboutMechanical failure modes 재료 과학 및 공학에서 항복점(yield point)은 탄성 거동의 한계와 소성 거동의 시작을 나타내는 응력-변형 곡선의 지점이다. 항복점 이하에서는 재료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적용된 응력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돌아간다. 항복점을 지나면 변형의 일부가 영구적이고 되돌릴 수 없게 ...
볼트의 꽉 조이는 방법의 한 가지로, 볼트의 항복점을 검지하고, 항복점(또는 그 이상)까지 꽉 조이는 방법. 종래의 꽉 조이는 토크에 의한 관리에서는, 볼트 좌면 등 마찰계수의 산포에 따라 볼트 축력도 산포 정도가 좋은 꽉 조임이 어려웠지만, 이 방법을 이용하면 높은 축력(軸力)으로 산포도 토크법의 1/2이하로...
연강 등을 잡아당기던가 깊이 조린 뒤에 생기는 표면의 주름무늬. 강판의 항복점 신장에 의한 국부 변형 때문에 재료의 표면에 망과 같은 명료한 무늬가 나타나서 소성가공한 제품의 표면품질은 현저하게 저해한다. 이것은 변형무늬와 커류터스대 등이라고도 부른다. 항복점을 분명히 표시하는 금속에 생긴다. 이것을...
때 항복이 일어난다. 체심 입방 금속에서는 저온역에서의 항복 응력은 나선 전위가 장거리 운동하기 위한 힘이다. 실리콘 등의 완전도가 높은 비금속에서는 항복점에서의 응력 저하(yield drop)를 동반하는 일이 있다. 고순도의 체심 입방 금속에서는 항복점은 일반적으로는 볼 수 없다. 연강에 항복점이 나타나는 필요...
강판을 프레스 하고 실온에서 장기간 방치, 또는 가열하면, 강판중의 탄소, 질소 작용에 의해 항복점이 상승하는 변형 시효라고 말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처럼 저 강도의 성형성이 좋은 강판이면서, 프레스 성형 후의 소부 도장(baked coating)의 열에 의해 변형 시효를 생기게 해, 높은 항복점이 얻을 수 있는 강판을...
대해서 일반적으로 그 대표치가 되는 정적강도는 일축 인장시험에 의한 결과로 표시된다. 연강이나 중탄소강재에서는 인장하중을 증가시키면 우선 명료한 항복점(yield point)이 나타난다. 즉 어떤 응력치에 달하면 급격하게 응력이 감소하고, 그 후 거의 일정한 응력에 대해서 변형만이 증가한다. 최초의 상승치를 상항...
응력 변형 선도를 나타내며 그림에서와 같이 C점에서는 재료의 탄성적 응집력이 떨어짐을 C점의 응력을 상항복점, 이점의 응력을 하항복점이라 한다. 이 항복점은 연강 및 이것과 유사한 조직을 가진 금속 재료에 특유한 것으로 상항점은 시험편의 형, 단면형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으로 하항복점은 안정되어 재료...
M39이하의 볼트 강도를 나타내는 구분으로, 4.6, 4.8, 5.6, 5.8, 6.8, 8.8, 10.9, 12.9, 14.9등이 있다. 예를 들면 4.6의 4는강도의 최소치가 400kg/cm2, 6은 인장 강도의 60%인 점이 항복점이라는 뜻이다. 즉, 40×0.6=240kgf/cm2가 항복점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가공 전은 연질상(軟質相)으로 항복점이 낮고, 가공 후는 경질상(硬質相)에 의해 경화하여 인장강도가 올라간다. 연경(軟硬)양상(兩相)을 가지는 복합조직의 강. Bake Hard성(소착 경화성)을 가지는 버링(Burring) 가공성(신장 플랜지프레스 가공성)에 뛰어난 고 장력강판을 말한다. 종래의 고 장력강판보다 항복점(Y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