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의 토기
    흙을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시대부터 토기가 나타난다. 신석기시대에는 흔히 빗살무늬토기로 대표되는 새김무늬토기가 주류를 이루며 민무늬토기와 덧띠토기, 붉은간토기 등이 일부 보인다. 빗살무늬토기는 도토리 모양의 뾰족밑 형태와 납작밑의 바리형토기가 있다. 뾰족밑토기는 서해안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 Korean pottery and porc..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정치적으로 안정적이었던 까닭에 지역 고유의 전통과 장인 기술이 확립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토기는 독특한 햇빛을 상징하는 기하학적인 무늬와 빗살무늬무늬가 장식되어있다. 한반도 남부 지방...
    도서 위키백과
  • 동물형토기 動物形土器
    상징적 존재이기도 하고, 또한 명기로서 부장되었던 것이라고 보인다. 한국의 재래식 결혼식에서 신랑이 나무 기러기를 신부측에게 건네는 것도 식량채집이라는...맹세이고, 이 경우도 새는 ‘수확물=식료’의 상징이 되고 있다. 조형토기의 형식을 나누면 사실적이고 몸체에 동작감이 있는 사실형식과 삼각형 몸체에...
    시대 :
    선사/철기, 고대/삼국/가야,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성격 :
    토기, 이형토기
    유형 :
    유물
    재질 :
    제작시기 :
    철기시대∼삼국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역사/고대사
  • 토기 土器, Pottery
    개설 지금으로부터 1만 2천년 전에 발명된 토기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용기의 하나로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빙하기가 끝나고 자연환경이 바뀌면서 인류의 생활내용도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정착생활과 농경의 시작이다. 정착생활과...
    시대 :
    선사/석기,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상형토기 이형토기(異形土器), 象形土器
    중에는 말탄사람〔騎馬人物〕·배탄사람〔乘船人物〕을 비롯한 여러 가지 모습의 인물·동물, 그리고 어떤 기물(器物)을 본뜬 독특한 상형토기가 출토되고 있다. 이들 상형토기는 흙으로 형상을 본떠 만들었다는 점에서 성격상 토우의 범주에 포함시켜 볼 수 있지만 장식성을 가진 완전히 독립된 형태의 토우와는 구별...
    시대 :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성격 :
    토기
    유형 :
    유물
    재질 :
    제작시기 :
    삼국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신라토기 新羅土器, Silla Pottery
    개설 신라토기는 신라의 성립 시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신라영역에서 생산·소비된 토기를 지칭하지만, 실제 신라의 성립 시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시기를 안다고 해도 토기에 신라의 성립 시기가 바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경주를 중심으로 울산·포항 등의 물질자료의 양상이 같게 되는...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토기
    유형 :
    유물
    제작시기 :
    삼국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신석기시대 즐문토기시대, 新石器時代
    욕지도, 안도 유적 등 동남해안 지역의 여러 유적에서 출토되는 일본 조몬토기, 흑요석 및 사누카이트제 석기 등의 각종 유물에서 찾아지며, 같은 양상으로 일본...津] 해안 유적, 대마도 사가(佐賀) 패총, 고시다카[越高] 유적 등에서 한국계 즐문토기와 조개팔찌, 어로구 등이 출토된다. 특히 이 중에서도 여러 종류의...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영화 映畵, motion picture
    지금은 영상에 음향을 포함시킨 뜻으로도 이해되고 있다.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이 창출하는 현실의 신비와 영상 및 음성의 몽타주에 의해 독자적인 영화 예술이 탄생했는데, 즉 과학과 예술의 결합이다. 영화는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유력한 수단인 동시에 가장 대중적인 오락의 주체가 되어 막대한 제작비와 흥행상의 요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 청동기시대 무문토기시대, 靑銅器時代
    있다. 이 영역에 서기전 1000년 전반을 중심으로 비파형동검을 지표로 하는 한국 청동기 갖춤새가 분포한다. 이들 지리적 영역의 청동기시대에 대체로 중원 지역...그에 따라서 그 공간적 분포와 시간적 범위에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무문토기시대’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그 시기 구분에 대해서 청동기와 무문...
    시대 :
    선사/청동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가야토기 加耶土器, Gaya Pottery
    때까지 하나로 통일되지 않았으나, 삼국시대 신라와 함께 가장 먼저 경질토기를 생산하였으며 여러 소국마다 형태가 다른 다양한 토기를 제작하였다. 가야토기는...이래 한반도의 토기 가운데 가장 조형미가 뛰어나며 그 유려한 곡선은 한국미를 잘 표현하고 있다. 이는 같은 시대의 백제토기, 고구려토기가 기종과 형태...
    시대 :
    고대/삼국/가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민무늬토기 ─土器
    개설 일명 ‘무문토기(無文土器)’·‘무늬없는 토기’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널리 사용되었던 무늬가 있는 토기인 빗살무늬토기에 상대되는 말로 사용된다. 민무늬토기의 기형상의 특징은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납작바닥[平底]과 둥근바닥[丸底]으로 뚜렷이 구분되는데 비해, 민무늬...
    시대 :
    선사/청동기
    성격 :
    청동기유물, 토기
    유형 :
    유물
    재질 :
    제작시기 :
    청동기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빗살무늬토기 ─土器
    개설 ‘즐목문토기(櫛目文土器)’라고도 한다. 또한 겉면에 무늬를 새기고 있기 때문에 ‘유문토기(有文土器)’라고도 하며, 무늬 모양의 특징을 따서 ‘어골문토기(魚骨文土器)’ 또는 ‘기하학문토기(幾何學文土器)’라고도 부른다. 내용 토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바닥면이 포탄모양으로 뾰족한 첨저형(尖底形)과 편평...
    시대 :
    선사/석기
    성격 :
    토기
    유형 :
    유물
    재질 :
    흙, 돌
    제작시기 :
    신석기시대
    분야 :
    역사/선사문화
    소장/전승 :
    경희대학교 박물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