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기 土器, Pottery
    점토를 반죽하여 5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든 용기.|개설 지금으로부터 1만 2천년 전에 발명된 토기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용기의 하나로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빙하기가 끝나고 자연환경이 바뀌면서 인류의 생활내용도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가...
    시대 :
    선사/석기,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선사문화
  • 토기 土器, earthenware
    토기는 인간이 흙·물·불·공기 등을 섞어 만들어낸 인류역사 최초의 합성물이다. 토기는 신석기시대 이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데, 우리나라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오산리유적에서 토기가 출토되었다. 흙은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이며 물과 섞어 반죽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빚어낼 수 있고, 마른 뒤에도 그 형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토기 吐器
    식사를 할 때 밥상 위나 밑에 놓고 가시 등을 발라내던 그릇.|내용 토구(吐具)라고도 한다. 민속악기인 장구를 모형으로 하여 모양이 재미있게 보이며, 가운데가 잘룩하여 구토물도 보이지 않는다. 이렇듯 그다지 상쾌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그릇을 형태면에서 재미있게 만들어 구토물이 보이지 않도록 처리한 것은 선...
    성격 :
    생활용품
    유형 :
    물품
    용도 :
    식기
    분야 :
    생활/식생활
  • 김해토기 金海土器
    삼국시대 전기(서력기원 개시 전후~300)를 대표하는 토기.|이 이름은 김해 조개더미에서 찾은 토기에서 비롯한다. 그러나 조개더미에서 출토된 토기에는 청동기시대의 적갈색 민무늬토기도 포함되어 있으며 연질회색토기, 적갈색 두드린무늬토기[打捺紋土器], 경질회색토기 등이 섞여 나왔으므로 알맞은 이름은 아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물 , 유적
  • 상형토기 (동의어 토기) 象形土器
    인물·동물·기물의 형상을 본떠 만든 토기.|이형토기(異形土器)라고도 하며, 형태에 따라 인물형토기·동물형토기·기물형토기로 나뉜다. 인물형토기의 경우에는 인물상이 단독으로 만들어진 것보다는 말이나 배를 탄 형태의 것이 많다. 유물로는 금령총에서 출토한 도제기마인물상(陶製騎馬人物像:국보 제91호), 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토기 土器
    부산 지역에서 발견된 토기.|[개설] 흙을 빚어 만든 토기(土器)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 용기의 하나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토기는 1만 2000년 전인 후기 구석기 시대에 시베리아와 연해주, 중국의 황허[黃河]와 양쯔 강[揚子江](장강) 유역, 일본 열도 등 광범위한 ...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토기
    흙으로 만든 원시시대에 주로 쓰이던 그릇
  • 토기 Earthenware, 土器
    토기(土器)는 흙으로 만든 그릇을 말한다. 신석기 시대에 발명되었다고 여겨진다. 점토에 조개껍질·운모·석영·짚 등을 섞어서 토기를 만든다. 토기는 물이나 곡물을 담는다든지, 곡물을 저장한다든지, 물건을 삶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토기의 모양은 손으로 빚는다든지, 점토를 가늘게 꼬아서 말아 올린다든지(卷上法...
    도서 위키백과
  • 따오기 Crested ibis, トキ
    따오기는 사다새목 따오기과 따오기속으로 분류되는 새다. 본종 1종으로 따오기속(Nipponia)을 구성한다. 일본의 텃새였고, 한반도에서는 겨울철새였다. 과거 세계적으로 불과 몇 마리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수가 감소해 절멸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발견된 개체군을 육성하여 2000년대 이후로 개체수가 회복추세...
    도서 위키백과
  • 신라토기 新羅土器, Silla Pottery
    개설 신라토기는 신라의 성립 시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신라영역에서 생산·소비된 토기를 지칭하지만, 실제 신라의 성립 시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시기를 안다고 해도 토기에 신라의 성립 시기가 바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경주를 중심으로 울산·포항 등의 물질자료의 양상이 같게 되는...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토기
    유형 :
    유물
    제작시기 :
    삼국시대
    분야 :
    역사/고대사
  • 오심
    속이 메스꺼워 구토를 할 것 같은 느낌
    발생 부위 :
    관련 질환 :
    대동맥 박리, 담낭암, 췌장암, 담석, 간경화, 뇌종양, 뇌동맥류, 외상에 의한 뇌 손상, 신장 결석, 백혈병, 간의 양성 신생물, 생식선 및 생식 세포의 신생물, 위염, 위장관 기질 종양, 크론병, 만성 위염, 급성 췌장염, 약물 알레르기, 음식 알레르기, 위식도 역류성 질환, 부비동염, 공황 장애, 신체형 장애, 총담관 낭, 뇌하수체 기능 부전,
    도서 증상백과 | 태그 증상
  • 토기 혁신시대의 영화
    개요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부터 전후 수년까지를 여기에서 일괄한 까닭은 전후의 영화는 오히려 전쟁 당시에 그 근원이 있다고 여겨지는데다가, 전쟁은 영화작가의 세대를 교체시켰다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전의 대가의 활약도 전후 수년까지였다. 1952년 텔레비전의 공세가 대형영화의 출현을 낳았다. 전시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영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2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