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토기 土器, Pottery점토를 반죽하여 5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든 용기. 개설 지금으로부터 1만 2천년 전에 발명된 토기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용기의 하나로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빙하기가 끝나고 자연환경이 바뀌면서 인류의 생활내용도 급속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가...
- 시대 :
- 선사/석기,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
토기 吐器식사를 할 때 밥상 위나 밑에 놓고 가시 등을 발라내던 그릇. 내용 토구(吐具)라고도 한다. 민속악기인 장구를 모형으로 하여 모양이 재미있게 보이며, 가운데가 잘룩하여 구토물도 보이지 않는다. 이렇듯 그다지 상쾌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그릇을 형태면에서 재미있게 만들어 구토물이 보이지 않도록 처리한 것은 선...
- 성격 :
- 생활용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식기
- 분야 :
- 생활/식생활
-
토기 土器부산 지역에서 발견된 토기. [개설] 흙을 빚어 만든 토기(土器)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 인류의 가장 보편적인 생활 용기의 하나로 인류 문화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토기는 1만 2000년 전인 후기 구석기 시대에 시베리아와 연해주, 중국의 황허[黃河]와 양쯔 강[揚子江](장강) 유역, 일본 열도 등 광범위한 ...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신라토기 新羅土器, Silla Pottery개설 신라토기는 신라의 성립 시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신라영역에서 생산·소비된 토기를 지칭하지만, 실제 신라의 성립 시기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시기를 안다고 해도 토기에 신라의 성립 시기가 바로 반영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경주를 중심으로 울산·포항 등의 물질자료의 양상이 같게 되는...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성격 :
- 토기
- 유형 :
- 유물
- 제작시기 :
- 삼국시대
- 분야 :
- 역사/고대사
-
-
토기 혁신시대의 영화개요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부터 전후 수년까지를 여기에서 일괄한 까닭은 전후의 영화는 오히려 전쟁 당시에 그 근원이 있다고 여겨지는데다가, 전쟁은 영화작가의 세대를 교체시켰다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전의 대가의 활약도 전후 수년까지였다. 1952년 텔레비전의 공세가 대형영화의 출현을 낳았다. 전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