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유리공예 琉璃工藝14세기초의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와 같은 고려불화에 나타난 유리그릇은 청자(靑磁)정병(淨甁)을 담는 보조 용기로 쓰이고 있다. 어쨌든 전통적인 유리공예는 고려 이후로는 맥을 잇지 못한 것 같다. 중국의 유리공예가 몽고 침입 이후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하겠다. 이러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공예 工藝동안 무의식중에 한국적인 특질이 배양되어 타민족과 구별되는 성격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공예품이 민중의 사고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면서 제작된 가장...하나라고 하겠다. 공예작품의 종류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공예작품에 사용된 재료는 금속 · 목칠 · 도토(陶土)가 주류를 이룬다. 이 밖에 유리○가죽...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화각 華角花角·火角’ 등 여러 가지로 쓰고 있는 실정이다. 화각공예의 기원에 관한 아무런 문헌자료가 없으므로 그것을 명확히 밝히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만, 당나라...mirra棺裝飾)에서 선구적인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수정·호박·유리·대모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 뒷면에 그림을 그려, 이 그림이 투명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칠보 七寶점토·유리 등이 있으나, 유약과 바탕재료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열팽창이 되도록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재료에 맞는 유약을 사용해야 하며 유약을 입히는 두께도 재료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 초기에 유약을 녹여 붙이는 작업을 위한 열원(熱源)으로는 유약을 녹여 구워내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특용작물 特用作物또 공예작물은 가내수공업으로 전래되어온 가공기술이 전하여 다른 지역보다 우수한 상품을 제조함으로써 특산물로서 평가를 받는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황색종 담배는 충청북도지방, 인삼은 개성·금산·풍기·부여·강화, 모시풀은 서천·한산(韓山)의 것이 손꼽히며, 또 강화·합천의 왕골제품은 이 지방의 특산품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
-
유리 琉璃유리의 예술적인 이용을 도모하는 유리공예 부문도 새로운 양태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유리제품을 대부분 국제수준급으로 생산...정교하게 만드는 수공업적인 제품까지 매우 다양하다. 조직으로 보면 몇몇 대규모공장을 제외한 모든 중소기업 유리공장은 한국유리공업협동조합을 형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공예디자인학과회사의 전문 디자이너, 갤러리ㆍ숍(shop) 등의 문화 공간 운영자, 도자 및 유리 제품 생산업체 , 주얼리 매장, 개인 창업 및 액세서리 숍 운영 등 학계 및 연구...직장 임금 : 180 세부관련학과 공예디자인,공예디자인과,공예디자인전공,공예디자인학과,귀금속보석공예과,귀금속보석공예전공,귀금속보석디자인전공...
- 분류 :
- 대학교 > 예체능계열
-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황남대총 남분 유리병 및 잔, 慶州 九十八號..북쪽의 시리아 지역에서 다수 확인된다. 유리 그릇의 형태와 제작 기법을 고려하면 문화 교류에 따른 전래품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일괄 유물로 출토된 봉수병과 유리잔은 세트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국시대 유리 공예에 대한 인식과 국제 교류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