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군 유도 무기체계지대지 유도무기 유도무기는 목표물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는 탄두가 빠르고 제대로 맞도록 이끌어주는 무기체계로서 현대과학의 집결체로 꼽힌다. 발사지점과 표적의 위치, 탄두의 운반수단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대지 유도무기는 적의 종심을 타격하기 위한 전술 및 전략용 무기체계이다. 장거리 목표물을 신...
-
한국군 화력 무기체계실험실 수준의 연구였다. 무기체계로서 로켓이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국방과학연구소가 국산 탄도 미사일과 함께 다연장로켓 '구룡'을 개발하면서 부터다. 구룡...제압용 화력을 제공해주었다. 현재는 천무 개발에 이어 함정탑재형 130mm 유도로켓도 개발 중이다. 해외도입 로켓으로는 미제 대구경다연장로켓(MLRS)이...
-
한국군 방공 무기체계주요시설들은 적의 저고도 기습공격에 취약한 면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군은 꾸준히 방공체계를 강화해 왔지만 북한 역시 1970~80년대를 통해 전투기의 저고도...있다. 대공포 일반적으로 항공 표적의 사거리가 3㎞ 이상에서는 유도무기가, 사거리 2㎞ 이내에서는 대공포가 훨씬 높은 명중률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
-
MIM-23 호크 HAWK, Homing All the Way Killer호크란 말은 본래 '매'를 뜻하지만, 유도무기 호크(HAWK)는 'Homing All the Way Killer'의 이니셜을 따 조합한 것으로 '반드시 추적해 격추시키는 미사일...고도 30m 이상부터 18km 이하까지의 저고도・중고도에서 주로 운용된다. 한국군은 1964년 미국의 군사원조로 호크 기본형을 도입해 그해 7월 육군에 호크대대를...
- 분류 :
- 방공 > 대공 유도무기
- 성능 :
- 유도방식 : 반능동 유도, 유효사거리 : 40km, 고도 : 18km, 비행속도 : 음속 2.8
-
메티스-M 9K115 2 메티스 M, Metis-M한국군은 1990년대에 들어 러시아 경제협력 차관 상환의 일환으로 진행된 '불곰사업'으로 메티스 - M(METIS-M)을 도입, 배치했다. 메티스 - M은 미사일인 9M131과 발사기 9P151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TOW와 같은 반자동 시선유도방식(SACLOS)으로 운용된다. 최대 사거리가 1500m 정도이다.
- 분류 :
- 화력 > 대전차 화기
- 성능 :
- 최대사거리 1500m 안팎
-
30mm 대공포 비호 飛虎, Self-Propelled AA 30mm Twin-Gun S..각 포는 분당 600발을 발사할 수 있다. 승무원 4명이 탑승한다. 한국군은 대공무기의 복합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비호 '기본형'에 휴대용 대공유도무기 '신궁'을 함께 운용하는 복합형을 개발, 전력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가지 등 현대적 전장 환경에서 궤도형보다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차륜형도 개발하고...
- 분류 :
- 방공 > 대공포
- 무게 :
- 전투중량 25톤
- 성능 :
- 최대 시속 60km
-
휴대용 SAM 신궁 KP-SAM, Korean Portable Surface to Air..한국군은 레드아이, 재블린, 미스트랄, 이글라 등 다양한 외국산 휴대용 대공유도무기를 운용하다 국산 '신궁'(新弓 New Arrow)을 개발해 2006년부터 전력화했다. 국산화율이 90%에 이른다. 2명이 운용하는 신궁은 최대사거리 7.0km, 최대고도 3.5km로 피아식별기 및 야간조준기를 장착하고 있어 원거리에서 피아 항공기...
- 분류 :
- 방공 > 대공 유도무기
- 크기 :
- 길이 1.6m, 직경 8cm
- 무게 :
- 15kg
- 성능 :
- 최대사거리 7.0km, 최대고도 3.5km
-
K21 보병전투장갑차한국군이 21세기 디지털 전장 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개발한, 강력한 화력과 기동력을 갖춘 입체고속 기동전의 주력 보병전투장갑차. 차장 ・ 사수 등 3명의 승무원과 9명의 보병 등 12명이 탑승한다. 전투중량 25톤에 750마력의 소형 고출력 동력장치를 통해 최고 시속 70㎞, 야지에서는 전차와의 협동작전이 가능한...
- 분류 :
- 기동 > 장갑차
- 무게 :
- 전투중량 25톤
- 성능 :
- 750마력, 최대 시속 70km
-
병기 무기, 兵器방법이 고안되었다. 이후 한국군은 군사력을 증강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 결과 한국군의 지상전력은 기동전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한국형 전차...등으로 전투능력을 향상시켜 왔다. 대(對)기갑전력은 대전차화기와 유도무기의 통합 운용체제로 발전시켰다. 또한 탱크는 한국형 전차(K-1 전차, TYPE 88...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위해 한국군과 방산업체들은 LAH헬기를 개발하여 배치를 하고자 하는 가운데, 과거와 같은 방식만으로는 도저히 항공기의 생존성을 보장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네트워크전의 능력을 강화하고 있는 노력의 일원으로 MUM-T 개발사업을 진행중이다. LAH+무인기 시스템의 임무 구조 임무 조난을 당하거나 적지에서 부상당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