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영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金泳三취임했다. 대통령 재임 시기 김영삼은 자신의 정부를 '문민 정부'라고 명명하고, 취임한 당일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을 개방했다. 이어 공직자 재산 공개,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도입 등 잇단 개혁 조치를 시행, 재임 초기 국정 지지도가 90%를 넘어서는 등 국민적 인기가 크게 올라갔다. 공직자 재산 공개 김영삼은...
- 출생 :
- 1929. 1.14, 경남 거제(호적상에는 1927. 12.20)
- 사망 :
- 2015. 11. 22, 서울
- 국적 :
- 한국
- 직업 :
- 정치인,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 호 :
- 거산(巨山)
-
문민정부의 출범김영삼 정부는 이 점을 강조하며 스스로 문민(文民)정부라고 칭했다. 김영삼은 취임 초기에 개혁 정책을 실시했다. 김영삼은 12 ・ 12쿠데타의 주역인 하나회(12 ・ 12쿠데타 발생 참조)를 해체해 군사 쿠데타가 재발할 가능성을 원천 봉쇄했다. 또한 금융실명제를 실시하고,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를 북한에 돌려보냈다...
- 시대 :
- 1993년 2월 25일
- 국가/대륙 :
- 한국
-
12 ・ 12쿠데타 발생수사본부장(육군 소장)이 이끄는 신군부가 10 ・ 26사건 조사를 명목으로 상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겸 계엄사령관을 체포했다. 대통령의 재가를 받지 않은 불법 연행이자 반란 행위였다. 12 ・ 12쿠데타를 기점으로 신군부는 최규하 대통령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권력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신군부의 핵심은 하나회였다.
- 시대 :
- 1979년 12월 12일
- 국가/대륙 :
- 한국
-
신군부 新軍部내용 ‘하나회’는 1958년 육사 11기생인 영남 출신의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 7명이 친목모임으로 만든 ‘칠성회(七星會)’가 시초이다. 이들은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군부 요직을 장악했으며, 1962년 ‘하나회’로 조직을 확대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사망 직후...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현대사
-
-
전두환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全斗煥같은해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실 민원담당비서관으로 임명됐다. 이를 계기로 전두환은 '박정희의 양아들'이라는 이야기를 들을 정도로 군에서 승승장구했다. 하나회 조직과 윤필용 사건 전두환은 1962년 육사 11기인 노태우,손영길, 김복동, 최성택 등과 함께 군부 내의 사조직인 하나회를 조직했으며, 1963년 중령으로...
- 출생 :
- 1931. 1. 18, 경남 합천
- 사망 :
- 2021. 11. 23, 서울
- 국적 :
- 한국
- 직업 :
- 군인, 정치인, 제 11·12대 대통령
- 호 :
- 일해(日海)
-
역사바로세우기 歷史바로세우기막고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기 위해 군사 정권 잔재 청산을 추진하였다. 먼저, 사정 개혁의 일환으로 신군부 잔재인 군의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를 청산하고 군에 남아 있는 하나회 출신 인사들을 전역시켜 정치군인의 정치 개입 가능성을 없앴다. 또한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전후해 발생한 12·12 군사반란과 5·17 군사...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서울의봄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전두환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은 11월 중순부터 군부를 장악할 계획을 세우고 정승화 총장과 상급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하나회를 중심으로 반란 세력 조직에 나섰다. 이렇게 군부 내 하나회를 중심으로 하극상을 준비한 전두환 등 신군부는 12 · 12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를 장악했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현대사
-
12·12 군사반란 十二十二 軍事叛亂개설 이들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세력이 당시 대통령이었던 최규하(崔圭夏)의 재가도 없이 휘하 부대 병력을 동원하여 정승화(鄭昇和) 육군참모총장을 강제로 연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군사반란 사건이다. 유혈충돌이 수반된 하극상 사건이었다. 12·12군사반란, 12·12하극상, 12·12...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문민정부 文民政府조선총독부 건물을 해체하였다. 민주화 운동을 계승한 문민정부는 군사 정권 잔재 청산과 군부에 대한 민간 통제를 추진하였으며, 신군부의 잔재인 하나회를 해체하고 하나회 출신 군장교들을 축출하였다. 또한 「5·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12·12 군사반란과 5·17 군사 쿠데타와 같은 헌정 질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