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플리니우스 Gaius Plinius Caecilius Secundus
    로마의 작가이자 행정관으로서 전성기 로마의 공적·사적 생활을 친밀하게 그려 문학적인 흥미를 크게 끄는 개인 서한집을 남겼다. 18세에 법조계에 들어가 소송과 재판을 맡아 처리했는데 실무에 뛰어나 최고행정직인 법무관과 집정관이 되었다. 또 재무능력을 인정받아 군사와 원로원의 재무위원을 맡기도 했다. 개인...
    출생 :
    61/62, 이탈리아 코뭄
    사망 :
    113경, 비티니아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플리니우스 Gaius Plinius Secundus
    로마의 학자·작가. (영). Pliny the Elder.|플리니우스의 〈박물지 Natural History〉는 백과사전적 저서로 모두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중세에 이르기까지 과학적인 문제에 있어 권위를 지녔다(→ 과학사). 플리니우스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로마에서 공부했다. 23세에 독일에서 복무를 하며 군대 경력을 쌓았...
    출생 :
    23, 갈리아 포 강 북쪽 노붐코문
    사망 :
    79. 8. 24, 베수비오 산 근처 스타비아이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플리니우스 Pliny, プリニウス
    플리니우스(Plinius)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킨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 고대 로마의 관료, 저술가. 대플리니우스의 조카.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플리니우스에 대한 평가
    플리니우스의 영향력은 이전에는 서로 무관하던 많은 사실들을 조직적인 방식으로 모은 능력, 다른 사람들은 무시했던 세부적인 것을 인지한 통찰력, 실제적인 자료와 허구적인 자료를 연관 짓는 이야기들 등에서 비롯된다. 지지를 받지 못하던 주장들, 우화들, 과장들과 함께 마술과 미신에 대한 그의 믿음은 이후 시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백과사전의 종류
    시각에 일대 변혁이 일어난 시기였으므로 백과사전에 있어서도 한층 나은 형식으로 만들어보자는 의지가 무르익었다. 로마의 티투스 황제(39~81) 시대에 플리니우스가 제작한 〈박물지 Historia naturalis〉는 고대 백과사전의 절정을 이루었다. 플리니우스나 그 이전 시대의 백과사전 제작자들은 종교에 관해서는 크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Pliny 플리니우스, プリニウス
    Pliny may refer to: Pliny the Elder (23 AD–79 AD), ancient Roman nobleman, scientist and historian, author of Naturalis Historia, "Pliny's Natural History" Pliny the Younger (died 113), ancient Roman statesman, orator, and writer; nephew and adopted son of Pliny the Elder Pliny Chase (1820–1886...
  •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 Pliny the Younger, ..
    인물 정보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 아명은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혹은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킬로이며 흔히 소플리니우스라 부른다. 고대 로마의 문학가이자 법조인이자 자연 철학자이며 행정관이었다. 그의 숙부는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대플리니우스)로 자신을 길러주고 가르치는 데...
    도서 위키백과
  •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 Pliny the Elder, ガイウス・プリニウ..
    인물 정보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정치인, 군인이다. 로마 제국의 해외 영토 총독을 역임하는 한편, 자연계를 아우르는 백과사전 《박물지》를 저술했다. 일반적으로는 대플리니우스로 불린다. 조카인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소플리니우스)는 문인 정치인이었으며...
    도서 위키백과
  • 수에토니우스 가이우스 수에토니우스 트란퀼리우스, Suetonius
    흥미있게 곁들인 책으로 그에게 지속적인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그의 가문은 기사계급(equites)에 속했다. 그는 정부에서 관료 겸 공문서 작성자로 있던 소(小)플리니우스의 친구이자 피보호자로서 법학을 공부했지만 법조계로 나가기를 그만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플리니우스의 도움으로 군사 호민관 직을 얻었지만...
    출생 :
    AD 69경
    사망 :
    122 이후
    국적 :
    로마
  • 폼페이 역사
    매몰되기 전까지 그 후유증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한 것은 79년 8월 24일이다. 이 참사의 목격담은 대(大)플리니우스의 조카 소(小)플리니우스가 미네눔의 로마 함대 사령관이었던 대플리니우스의 죽음에 대해서 묻고 있는, 타키투스에게 쓴 2통의 서신에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 대...
  • 트라야누스 로마 제국 제13대 황제, Marcus Ulpius Trajanus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재정적인 곤란을 겪는 속주들에 특별 임무를 띤 총독을 파견했다. 최소한 2명 이상을 파견했으며, 그중 하나는 소(小)플리니우스로 소아시아 북부해안의 속주인 비티니아폰투스로 파견되었다. 플리니우스가 총독직을 맡은 2년 동안 플리니우스와 트라야누스 사이에 오고간 편지들은 그의...
    출생 :
    AD 53. 9. 15(?), 바이티카 이탈리카
    사망 :
    117. 8. 8/9, 실리시아 셀리누스
    국적 :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그리스도교도의 박해
    것이 그리스도교에 대한 바르지 못한 통념을 낳게 한 배경이었다. 2세기 초에 소아시아 비티니아의 속주 총독으로 파견된 소 플리니우스에게로 점차 그리스도교도들이 고발되었다. 플리니우스는 조사를 해서 종교를 포기할 것을 권유하고 이를 거부하는 교도들이 속주민인 경우에는 처형했다. 그러나 종교를 포기하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플리니우스
대 플리니우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