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프랑크푸르트 학파 Frankfurter Schule
    1930년대 이후에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를 무대로 활약한 철학자 집단.|지도자격인 M. 호르크하이머를 비롯해 T. W. 아도르노, H. 마르쿠제, W. 벤야민, E. 프롬, F. 폴록, F. L. 노이만 등과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 연구소에서 배출된 J. 하버마스, A. 슈미트 등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그들은 마르크스주의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프랑크푸르트 학파 Frankfurter Schule
    프랑크푸르트의 사회 연구소에 참가한 집단의 총칭 좁은 의미로는 1930년대 이후 호르크하이머의 지도 아래 모인 아도르노, 프롬, 마르쿠제, 벤야민, 노이만 등과 2차 세계대전 후 하버마스, 슈미트 등 2세대 학자들까지 아우른다. 교조주의(敎條主義)를 지양한 마르크스의 관점으로 과학과 철학을 접목한 사회철학(비판...
  • 프랑크푸르트 학파 (관련어 프랑크푸르트학파) Frankfurt Scho..
    프랑크푸르트 학파( - 學派, 2009) 처음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마르크스의 일부 추종자들이 마르크스 사상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일부분만을 반복해 말한다고 비판하던 정통 마르크스주의학자들로 이뤄져 있었으나, 일부 학자들이 전통적 마르크스 이론으로는 20세기에 자본주의가 예상 밖으로 급격하게 발전한 것을 설명...
    도서 위키백과
  • Frankfurt School 프랑크푸르트 학파, フランクフルト学派
    The Frankfurt School is a school of social theory and philosophy associated in part with 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at the Goethe University Frankfurt. Founded during the interwar period, the School consisted of dissidents who were at home neither in the existent capitalist, fascist, nor c...
  •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Goethe University Frankfurt, ヨハ..
    호르크하이머가 취임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으로 망명을 간 이후 프랑크푸르트로 다시 돌아와 테오도어 아도르노 및 다른 학자들과 함께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대표하는 학자가 되었다. 대부분의 유대인 출자자들의 뜻에 의해서 신학부는 설치되지 않았다. 신앙의 문제와 종교적 소속감은 개방적이고 진보적...
    도서 위키백과
  • 프랑크푸르트 Frankfurt, フランクフルト・アム・マイン
    총영사관도 개설되어 있다. 한편, 이 도시는 2006년 FIFA 월드컵 축구 대회의 개최지 중 한 곳이기도 했다. '발트슈타디온'국기그림 중국 광저우시 (1988년)국기그림 체코 프라하 (1990년)국기그림 폴란드 크라쿠프 (1991년) 프랑크푸르트 학파 독일의 인구순 도시 목록 언어링크 공식 홈페이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교토 학파 Kyoto School, 京都学派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심각한 논쟁에서 살아남아 유명하고 활동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교토 학파프랑크푸르트 학파나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와 같이 전통적인 학파의 의미에서 철학 "학파"는 아니다. 대신 교토 대학을 중심으로 모인 학자 그룹은 독자적인 사상을 장려하였다. 제임스 하이직(James Heisig...
    도서 위키백과
  • 이념 Ideology, イデオロギー
    인정하면서, "완전한" 그러나 "특별한" 마르크스주의 개념에서 "일반"과 "전체" 이데올로기 개념으로 발전하고 진보시켰다. 슬라보예 지젝과 초기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이데올로기의 "일반론"에 의식적인 생각뿐 아니라 무의식적인 생각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정신분석적 통찰을 더했다.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도서 위키백과
  • 아도르노 Theodor Wiesengrund Adorno
    사회학·심리학·음악학 등에도 해박한 지식을 가졌고 비판이론을 내세운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일원으로 유명하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지적 부흥에 크게 이바지했다. 미학의 발전을 역사 진화와 '진리' 추구에 중요한 요소로 강조한 아도르노의 초기 저작들은 어릴 때 쌓은 음악적 훈련과...
    출생 :
    1903. 9. 11,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사망 :
    1969. 8. 6, 스위스 피스프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문화산업 文化産業, Culture Industry
    개설 문화산업이란 용어는 두 가지의 맥락에서 각기 다른 용법으로 사용된다. 하나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인 아도르노(T. Adorno)와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가 『계몽의 변증법(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에서 사용한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이다. 여기서 문화산업은 자본주의적으로 대량생산된 대중문화...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비판이론 批判理論, Kritische Theorie
    대한 분석을 발전시켰다. 이들의 분석 목적은 그러한 사회가 지닌 억압적인 경향을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데 있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중심지는 1924~33년에는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였다가 나치 집권기에는 뉴욕·로스앤젤레스·버클리 등으로 옮겼으며 1949(또는 1950)년에 다시 프랑크푸르트암마인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문학사회학 文學社會學, sociologie de la literature
    문학사회학이 일정한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이렇듯 내용 위주로 발전해가던 문학사회학이 과학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L. 골드만과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의해서이다. L. 골드만은 문학사회학자로서 G. 루카치를 계승하면서 문학현상을 한 계층의 집단의식으로 파악하고, 부분과 전체와의 이해와 설명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er Schule)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er Schule)
 프랑크푸르트학파인 아도르노(오른쪽)와 호르크하이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