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탁지지 度支志조선후기 문신 박일원이 왕명으로 호조의 모든 사례를 정리하여 편찬한 관찬서. 사례기록문서. 내용 21권 10책. 필사본. 정조대는 국가에서 주도하는 각종 편찬 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 중 주요 관서의 사례를 모아 후일 고거할 자료로 삼으려는 목적에서 『춘관지(春官志)』 · 『추관지(秋官志)』 · 『규장각지...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정약용 귀농(歸農), 丁若鏞보편적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토지개혁론은 이러한 지주제를 인정하는 위로부터의 개혁과, 지주제를 해체하고 자립적 소농이나 중소 상공인의 입장을 지지하는 아래로부터의 개혁의 대두되어 있었다. 실학파의 토지개혁론은 후자의 길과 관련되며, 정약용도 이와 같은 입장에서 자신의 토지개혁안을 제시하였다...
- 출생 :
- 1762년(영조 38) 6월 16일
- 사망 :
- 1836년(헌종 2) 2월 22일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호구총수 戶口總數구성하는 수입 목록을 지역별, 기관별, 세목별로 정리한 『부역실총(賦役實總)』, 국가 재정을 총괄하는 호조(戶曹)의 업무 규정과 재정 현황을 정리한 『탁지지(度支志)』, 지역별, 관할 기관별 환곡 총수를 정리한 『곡총편고(穀總便攷)』와 『곡부합록(穀簿合錄)』 등이 모두 18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문서이다. 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호조 戶曹색(歲幣色)·응판색(應辦色)·별고색·별영색·사축색(司畜色) 등 9방이 각각 설정되고, 회계사에는 방색이 두어지지 않았다. 1788년(정조 12)에 편찬된 ≪탁지지 度支志≫에서는 당시의 호조소관업무가 사실상 크게 축소된 것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즉, 호적은 한성부로, 어염세(漁鹽稅)는 균역청으로 각각...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서,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89년(공양왕 1)
- 폐지일 :
- 1894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전라우도 全羅右道좌 · 우도로 나누었다. 이 좌 · 우도의 배치는 경기도 · 충청도 등에도 시행된 바 있는데 왕성에서 남쪽을 바라볼 때 전라도 지역의 좌 · 우측을 뜻하며 탁지지(度支志)에 수록된 전라우도의 고을은 전주 · 익산 · 김제 · 고부 · 금산 · 진산 · 여산 · 만경 · 임피 · 금구 · 정읍 · 흥덕 · 부안 · 옥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전라좌도 全羅左道좌 · 우도로 나누었다. 이 좌ㆍ우도의 배치는 경기도ㆍ충청도 등에도 시행된 바 있는데 왕성에서 남쪽을 바라볼 때 전라도 지역의 좌ㆍ우측을 뜻하며, 탁지지(度支志)에 수록된 전라좌도의 고을은 남원ㆍ담양ㆍ순창ㆍ용담ㆍ창평ㆍ임실ㆍ장수ㆍ곡성ㆍ옥과ㆍ운봉ㆍ진안ㆍ무주ㆍ광주 등의 24개 고을이었다. 전라좌ㆍ우도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박일원 朴一源대한 기록을 모아 『추관지(秋官志)』 10권 10책을 편찬하였다. 또한 1788년에는 호조낭관(戶曹郎官)으로서 정조의 명령을 받아 호조에 대한 기록인 『탁지지(度支志)』 22권을 편찬하였다. 관력이나 신상에 대한 사항을 자세히 알기 어려운 인물이지만, 임금의 명령을 받아 책을 편찬하였다거나, 박일원이 편찬한 책들...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아산현감, 호조낭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추관지(秋官志), 탁지지(度支志)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