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를로 알베르토 Carlo Alberto
    사르데냐-피에몬테의 왕(1831~49 재위). (영). Charles Albert.|이탈리아 통일운동인 리소르지멘토가 한창이던 격동기에 나라를 다스렸으며 이때 보여준 정치적인 우유부단함으로 수수께끼 같은 인물로 부각되었다. 사보이 왕가의 방계가문 출신으로, 이탈리아에서 망명해 파리와 제네바에서 성장하며 프랑스 혁명사상...
    출생 :
    1798. 10. 2, 프랑스령 피에몬테 토리노
    사망 :
    1849. 7. 28, 포르투갈 오포르토
    국적 :
    사르데냐-피에몬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카를로 알베르토 Charles Albert of Sardinia..
    번역 확장 필요왕족 정보 카를로 알베르토 디 사보이아카리냐노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이다. 카리냐노 공작이었던 카를로 알베르토는 1831년 4월 27일 먼 사촌지간이었던 카를로 펠리체가 후사없이 사망하며 왕위를 계승했다.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발발한 이후 카를로 알베르토 국왕은 1849년 3월 22일 아들인 ...
    도서 위키백과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Vittorio Emanuele, Prince of Na..
    왕족 정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의 마지막 국왕인 움베르토 2세와 벨기에의 마리조제의 고명아들이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또한 사보이아 공작이라는 칭호를 사용했고 사보이아 가문의 수장을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그의 사촌인 아오스타 공작 아메데오의 지지자들과 나중에는 아메데오의...
    도서 위키백과
  • 카를로
    카를로는 이름이다. 나폴리의 왕 나폴리의 카를로 1세 나폴리의 카를로 2세 나폴리의 카를로 3세 나폴리의 카를로 4세 나폴리의 카를로 5세 나폴리의 카를로 6세 나폴리의 카를로 7세 사보이아의 공작 카를로 1세 카를로 2세 카를로 3세 카를로 알베르토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2세 카를로...
    도서 위키백과
  • 카를로 펠리체 Charles Felix of Sardinia, カルロ・フェリ..
    왕족 정보 카를로 펠리체 디 사보이아는 사르데냐의 국왕이다. 1821년 3월 12일 형이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가 민주 헌법을 원했던 국민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고 퇴위하며 즉위하였다. 이후 10년간 재위 후 1831년 4월 27일 사망하였으며, 왕위는 동생인 카를로 알베르토에게 계승되었다. 사르데냐왕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카보우르 카보우르 백작 카밀로 벤소, Camillo Benso, conte di Cavour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둘째 아들이기 때문에 자기 형이 상속하기로 되어 있는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꿈꿀 수 없었던 그는 사보이와 피에몬테의 공(公) 카를로 알베르토의 후원을 받는 것이 자기가 출세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1826년 공병대 소위에 임관되었다. 사관학교에서 6년 동안 생활하면서 그는 정치사상에...
    출생 :
    1810. 8. 10, 프랑스령 피에몬테 토리노
    사망 :
    1861. 6. 6, 이탈리아 토리노
    국적 :
    피에몬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노바라 전투 Battle of Novara
    이 전투에서 육군원수 요제프 라데츠키가 이끄는 7만 오스트리아군이 피에몬테-사르데냐 왕 카를로 알베르토가 지휘하는 훈련이 제대로 안된 10만 이탈리아군(사실 이들 모두가 전투에 투입된 것은 아님)을 완전히 격퇴했다. 카를로 알베르토가 제1차 쿠스토차 전투에서 패배한 후 다음해 8월에 맺은 휴전협정(1848. 8...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노바라 Novara
    1821년과 1849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가 승리를 거둔 곳이기도 하다. 그 마지막 전투에서 요제프 라데츠키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이 사르테냐의 카를로 알베르토 왕이 이끄는 피에몬테군을 물리침으로써 카를로 알베르토를 퇴위시켰다(→ 노바라 전투). 옛 세례당이 있는 대성당(1863~69 재건), 산가우덴치오 교회당...
    위치 :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 지방 노바라 주, 롬바르디아 평원
    인구 :
    104,586명 (2021년 추계)
    면적 :
    103.05㎢
    언어 :
    이탈리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사르데냐 왕국 Kingdom of Sardinia
    그때부터 1861년까지 그와 그의 계승자들은 권력과 부의 기반 및 거처는 피에몬테에 있었지만, 사르데냐의 왕으로 군림했다. 1848년 3월 국왕 카를로 알베르토는 '알베르토 법령'이라는 피에몬테-사르데냐의 새 헌법을 반포했는데, 이 법은 1861년 3월 17일 초대 이탈리아 의회가 선포한 새 이탈리아 왕국 헌법의 기초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마치니 Giuseppe Mazzini
    잘생긴 용모, 검은 머리와 턱수염, 검은 벨벳 옷차림의 그를 곧 친근하게 받아들였으며 지도자로 인정했다. 그가 처음 공식적으로 한 일은 피에몬테 왕 카를로 알베르토에게 '공개서한'을 보낸 것으로, 피에몬테 입헌정부를 세우고 민족운동을 이끄는 한편 오스트리아인을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및 이탈리아의 여러...
    출생 :
    1805. 6. 22, 제노바
    사망 :
    1872. 3. 10, 피사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발보 Cesare, Conte Balbo
    친하게 지냈지만 혁명에는 찬동하지 않았으며 왕조에 충성하는 편이었다. 그럼에도 1821년 3월 혁명의 몇몇 지도자들과 관련을 맺어 앞으로 왕이 될 카를로 알베르토에게 입헌주의운동을 이끌도록 설득했다는 사실 때문에 공적인 비난을 받았다. 그뒤 몇 년 동안 토리노를 떠나 저술활동에만 전념했다. 발보의 가장 유명...
    출생 :
    1789. 11. 27, 피에몬테 토리노
    사망 :
    1853. 6. 3, 토리노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비토리오 에마뉴엘레 거리 토리노 여행이라면 이곳에서, Corso Vittorio Eman..
    없는 여행자라면 이 거리만 지나도 토리노 관광은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거리가 제일 볼 만하다. 비토리오 에마뉴엘레 2세(Vittorio Emanuele II) 카를로 알베르토 디 사보이아의 아들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카리냐노 궁에서 태어났다. 자신의 아버지가 왕위에서 하야한 이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