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침선장 針線匠침선장(針線匠)은 바느질로 옷, 장신구 등의 복식을 만드는 기술을 가진 장인이다. 침선장은 1988년에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제89호로 지정되어 우리 고유의 옷 만드는 기술이 계승되고 있으며, 1996년부터는 시 · 도무형문화재(현, 시·도 무형유산)로도 지정되어 침선 기술이 보존 및 전승되고 있다.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침선장 針線匠바느질로 옷을 만드는 침선 기술이 뛰어난 장인. 내용 우리 나라 옷은 유아기 때부터 아동기 · 청년기 · 장년기 · 노년기까지의 복식과 상복 · 수의 · 계절복 등이 각각 달라 각 시기마다 입는 옷이 다르며, 마름질 · 바느질 · 풀먹이기 · 다듬이질 등 그 침선 기술이 달라진다. 이렇게 다양한 복식을 다루는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침선장(침선) 針線匠針線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전통복식은 기후와 풍토 등의 자연조건과 지역적 생활환경에 따라 지역적 토착문화를 형성하면서부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 최온순 침선장의 작품은 호남지방 서민의 생활복을 중심으로 했는데, 여기에는 배내옷에서부터 수의까지 평상복을 비롯하여 통과의례 복식이 포함되어 있어 전라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초등대한역사 初等大韓歷史동일인이다. 1908년 7월에 발행되었으며, 인쇄소는 교동우문관(校洞右文館)이다. 책의 규격은 가로 15.5㎝, 세로 22.7㎝이다. 양지를 사용했으며, 사침선장(四針線裝)으로 제책되어 있다. 본문은 170쪽으로 국한문을 혼용하여 세로짜기 체제에 신연활자로 인쇄하였다. 책머리의 ‘서’와 ‘목록’, 책 끝의 간기 면을...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자수장 刺繡匠수본을 바탕으로 궁중 특유의 격조 높은 자수가 제작되었다. 경공장에 소속된 자수관련 장인은 화아장(花兒匠) · 금사장(金絲匠) · 재금장(裁金匠) · 침선장(針線匠) 등이 있었으며, 이들이 상호 협업을 통하여 제작활동을 전개하였다. 민간에서는 부녀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베갯모 · 방석 · 수저집 등 일상 기명...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근이산술서 近易算術書124쪽이다. 상권 2는 같은 해 11월에 발행되었고, 224쪽이다. 이 책은 상권만으로 분책된 체제이다. 책의 규격은 세로 22.3㎝, 가로 15.2㎝이며, 사침선장(四針線裝)으로 제책되었다. 본문은 국한문 혼용 체제에 세로짜기이고, 아라비아 숫자로 작성된 각종 산식의 경우는 가로짜기로 되어 있다. 내용 전체를 5편으로...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신정동국역사 新訂東國歷史서지적 사항 2권 2책.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원영의(元泳義)·유근(柳瑾)이 찬집하였고, 1906년 12월 5일에 발행되었다. 권1은 174쪽, 권2는 152쪽이다. 사침선장(四針線裝)에 양지 한장본이다. 책의 외형은 가로 11.4㎝, 세로 17.7㎝, 본문은 가로 14.7㎝, 세로 22㎝이다. 국한문 혼용에 세로짜기 체제로 되어 있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원영의, 유근
- 창작/발표시기 :
- 1906년 12월 5일
- 성격 :
- 교과서, 초등교과서, 국사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간행/발행 :
- 휘문의숙인쇄부, 徽文義塾印刷部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초등본국약사 初等本國略史2책.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1909년 9월 30일 흥사단편집부(興士團編輯部)에서 저작했고, 동문관(同文館)에서 발행하였다. 권1은 60쪽, 권2는 104쪽이다. 사침선장(四針線裝)에 양지 한장본이다. 책의 외형은 세로 22.3㎝, 가로 15㎝이다. 국한문 혼용에 세로짜기 체제로 되어 있다. 본문의 한자는 글줄 오른쪽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흥사단편집부
- 창작/발표시기 :
- 1909년 9월 30일
- 성격 :
- 교과서, 초등교과서, 국사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간행/발행 :
- 동문관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신찬초등역사 新撰初等歷史廣德書館)에서 발행하였다. 권1과 권3은 1910년 4월 5일, 권2는 같은 해 4월 7일에 발행되었다. 권1은 66쪽, 권2는 62쪽, 권3은 66쪽으로 되어 있다. 사침선장(四針線裝)에 양지 한장본이다. 외형은 세로 22.1㎝ 가로 15.7㎝이다. 국한문 혼용에 세로짜기 체제로 되어 있다. 내용 제1권은 단군조선에서 삼국 시대까지를...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유근 저, 장지연 교열
- 창작/발표시기 :
- 1910년 4월 5일(권1·권3), 1910년 4월 7일(권2)
- 성격 :
- 교과서, 초등교과서, 국사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간행/발행 :
- 광덕서관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노동야학독본 勞動夜學讀本유길준이며, 1908년 7월 13일에 발행되었다. 인쇄소는 경성일보사(京城日報社)이다. 책의 규격은 세로 22.2㎝ 가로 15㎝이고, 분량은 91쪽으로 되어 있다. 사침선장(四針線裝)으로 제책되었고, 국한문 혼용 체제에 세로짜기로 되어 있다. 내용 50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반부에서는 사람(人)을 바탕으로 하여 나의...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유길준(저술 겸 발행자)
- 창작/발표시기 :
- 1908년 7월 13일
- 성격 :
- 교과서, 국어학습용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유길준
- 분야 :
- 교육/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