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영혼의 밧줄, 아야와스카 라미, Ayahuasca다른 성도덕을 지니고 살던 사람들에게는 맞지 않는 이론이 되고 말았다. 더군다나 자신의 동료이던 카를 융과 불화를 일으키고 그와 결별하게 했던 집단무의식 개념을 프로이트는 무시했다. 사실 꿈과 신화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한 단계 높인 사람은 카를 융이다. 오늘날 여러 방식으로 전개되는 꿈 분석 세미나와 꿈...
-
-
무의식 나도 모르는 내 마음이 있다고?다른 것이었지만, 그의 동료였다가 후에 분석심리학의 창시자가 된 융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되는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주장했다. 물론 융도 개인 무의식을 마음의 영역으로 설정했지만 이보다는 집단 무의식을 더욱 중요하게 보았다. 프로이트나 융의 이론이 과학자들이나 심리학자들에게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
-
마음의 구조 선택, 해석은 변하고 삶은 계속된다우리 대 그들’ 프레임에 갇혀 나와 관계된, 즉 ‘우리’라고 부를 수 있는 집단은 무조건 좋게 보고 우리 밖에 있는 ‘그들’은 모두 타자로 보아 무조건 배제...편향이다. 종교갈등, 민족갈등, 인종차별 등이 모두 그런 비합리적인 무의식적 편향에서 나온다. 이런 편향들은 우리로 하여금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사태...
-
분석심리학 우리의 마음에는 인류가 공유하는 무의식이 있다보면 분석심리학이 정신분석의 무의식을 둘로 나눈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정신분석의 무의식은 과거의 경험과 억압된 욕구와 기억(기억상실증 참조)으로 사람마다 다르며, 분석심리학의 개인 무의식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집단 무의식은 개인이 아닌 인류 전체의 경험으로 생겨나는...
-
융의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성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대신에 부모의 성격 등을 비롯한 다른 조건들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집단 무의식을 믿었다. 1912년에 출간된 그의 혁신적인 저서 《무의식의 심리학(Psychology of the Unconscious)》에서 무의식에는 개인과 집단으로 된 두 개의 차원이 존재...
-
신화의 환상에 빠져들다진 것이 개인적 무의식이라면, 집단무의식은 현재의 인간이라는 종족이 있기까지 축적된 모든 동물 조상과 인간 조상의 경험에서 우러나온다. 융은 이 집단무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를 ‘원형(Archetype)’이라고 불렀다. 원형은 모든 인간의 공통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신화, 문학, 종교에서 계속 반복돼 나타난다. 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