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지하수 地下水빗물이나 눈의 일부가 땅 속으로 침투되어 모래·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지층이나 암석의 간극을 메우고 있는 물. 내용 학문적으로 땅속에 있는 물에는 광물에 결정체로 부착되어 있는 물도 있고 흙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토양수(土壤水) 형태로 부존하고 있는 물도 포함되나 이런 상태의 물까지 지하수라고 하지는 않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처녀수로, 아쿠아 비르고 처녀의 전설이 깃든 아그리파의 지하수로스페인 광장의 ‘조각배 분수’, 나보나 광장의 ‘4대강의 분수’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로마의 수로 로마는 건국 이래 400년 이상 동안 테베레 강이나 지하수 층에서 물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기원전 4세기부터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물의 수요도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에 외부에서 물을 끌어오지 않으면 안 됐다...
- 시대 :
- 로마제국 전기
-
환경오염과 유해물질것입니다. 토양 및 수질 오염 수질오염이라 함은 자연수역의 수질이 인간생활 및 산업활동에 의해서 야기된 공장폐수, 농약, 하수 및 분뇨 등이 하천수 또는 지하수에 흘러 들어가서 물의 자정작용 능력이 없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토양오염이란 사람의 활동에 따라서 토양이 오염되는 것입니다. 물의 순환에 따라서...
-
물된 까닭은 인체가 생리적으로 물을 요구한다는 기본적인 필요성 외에도 농경과 산업활동에서 물이 필수불가결한 물질이기 때문이었다. 물은 바닷물·강물·지하수·빗물·온천수·눈·얼음·수증기·안개 등의 상태로 존재하며, 지구 표면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어 지각이 형성된 이래 지구 표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