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레 lever
    무거운 물건을 움직이는 데에 쓰는 막대기.|지렛대라고도 한다. 초기의 인간들은 무거운 바위를 옮기거나 경작용으로 몇 가지 형태의 지레를 사용했다. 지레의 원리는 관개용 방아두레박에 이용되었는데, 이 장치는 짧은 쪽에는 물통을 달고 긴 쪽에는 평형추를 단 긴 지렛대였다. 이 장치의 긴 쪽을 아래로 당겨 자기...
    도서 다음백과
  • 지레 lever
    막대와 받침점, 힘점, 작용점으로 이루어진 단순 기계.
  • 지렁이 (동의어 지레)
    빈모강(貧毛綱)에 속하는 환형동물의 총칭.|내용 한자어로는 구인(蚯蚓)이 표준어였고 지룡(地龍)도 흔히 사용되었으며, 근인(螼蚓) · 곡선(曲蟺, 曲蟮) · 토룡(土龍) · 토선(土蟺) · 부인(附蚓) · 명체(鳴𫊧) · 원선(䖤蟺) · 가녀(歌女) · 한인(寒蚓)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말로는 ‘디룡이’가 흔히 쓰였고 ...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지레 Lever, てこ
    도구 정보 지레는 막대를 이용하여 힘을 전달하는 도구이며, 지렛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막대를 "지레"라 부르기도 하며, 막대를 받치고 있는 지점을 "받침점", 힘을 가하는 지점을 "힘점", 지레가 움직여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지점을 "작용점"이라 한다. 비유적으로는 어떤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나 힘...
    도서 위키백과
  • 지렛대 lever
    물리적인 힘을 증대시키는 간단한 기계.|초기의 인간들은 무거운 바위를 옮기거나 경작용으로 몇 가지 형태의 지렛대를 사용했다. 지렛대의 원리는 관개용 방아두레박에 이용되었는데, 이 장치는 짧은 쪽에는 물통을 달고 긴 쪽에는 평형추를 단 긴 지렛대였다. 이 장치의 긴 쪽을 아래로 당겨 자기 체중의 몇 배를 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지레의 예는 어떤 것들이 있나?
    1종 지레의 역학적 능률은 1보다 크다. 받침을 어디에 놓아야 역학적 능률이 1보다 작아질까? 가위를 자세히 관찰해보자. 가위에서 물건을 자르는 부분을 이동하면 역학적 능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는 물건을 가위의 어느 부분에 놓아야 잘 자를 수 있는가? 이런 경우에는 물건을 축 가까이...
  • 축바퀴는 어떻게 지레와 유사한가?
    대개의 경우 바퀴 가장자리에 힘을 가하고 축에 감겨 있는 끈의 움직임을 통해 출력을 얻어낸다. 만약 두 힘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면 이 축바퀴는 3종 지레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두 힘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예를 들어 바퀴를 누르는 동안 로프가 반대편에서 위로 올라가면) 1종 지레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축에...
  • 지레의 원리에도 함수 관계가 있나요?
    아르키메데스가 찾은 지레의 원리에는 어떠한 규칙적인 대응 관계가 있나요? 그러면 함수 관계라고 할 수 있나요? 아르키메데스가 찾은 지레의 원리는 하나의 함수 관계라 할 수 있습니다. 지레의 막대를 받치거나 고정된 점을 받침점, 외부 힘이 가해지는 점을 힘점, 지레가 물체에 힘을 작용하는 점을 작용점이라 할...
    분야 :
    함수와 규칙성
    교과단원 :
    중등 1학년 〈함수〉, 고등 1학년 〈함수〉
  • 1종 지레
    초기의 인간들은 무거운 바위를 옮기거나 경작용으로 몇 가지 형태의 지레를 사용했다. 지레의 원리는 관개용 방아두레박에 이용되었는데, 이 장치는 짧은 쪽에는 물통을 달고 긴 쪽에는 평형추를 단 긴 지레였다. 이 장치의 긴 쪽을 아래로 당겨 자기 체중의 몇 배를 들어올릴 수 있었고, BC 1500년경에는 물을 끌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지레의 3요소
    받침점은 지렛대를 받치는 점이고, 힘점은 힘을 가하는 점, 작용점은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점이다. 일반적인 지레에서 받침점은 작용점과 힘점의 사이에 있으며 받침점과 작용점이 가까울수록 힘을 적게 들이고 무거운 물체를 들 수 있다.(가위) 받침점이 한쪽 끝에 있지만 힘점까지의 거리보다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도서 다음백과
  • 2종 지레
    2종 지레는 받침점에서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받침점에서 힘점까지의 거리보다 가깝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지레의 모습인 1종 지레처럼 적은 힘을 들여 큰일을 해낼 수 있다. 호두까개, 병따개, 작두 등이 해당한다. 호두까개는 작용점에 둥근 모양으로 테두리가 만들어져서 호두의 두꺼운 껍질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3종 지레
    3종 지레는 1종이나 2종 지레와 달리 힘보다 거리에서 이익을 얻는다. 받침점이 한쪽 끝에 있고 힘점이 가운데에 있어서 받침점에서 작용점까지의 거리가 힘점까지보다 항상 멀게 된다. 이런 경우 물체를 들어 올리려면 무게보다 더 큰 힘을 줘야한다. 대신 이동거리가 짧아져 정밀한 작업을 할 수 있다. 3종 지레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5건

1종 지레
3종 지레
2종 지레
지레의 원리(F1×D1 = F2×D2)
아르키메데스는 지구를 들어올릴 만큼 긴 지레를 주면 지구를 들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