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관학파 中觀學派, Madhyamika
    대승불교 학파의 하나.|그 명칭은 설일체유부(모든 것이 실재라는 학설)의 실재론과 유가행파(오직 識만 있음)의 관념론 사이에 중도적 입장을 취하는 데서 나왔다. 가장 유명한 중관학파 사상가는 용수(龍樹 Nāgārjuna:150경~250경)인데, 그는 모든 것이 공이라는 교의를 발전시켰다. 이 학파의 주요경전은 용수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중관학파의 공
    것이다. 이처럼 자성적이고 실체적인 것을 상정하는 언어나 개념은 부정되지만, 한편으로 사람들을 깨우치기 위해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논리에 따라 중관학파의 학자들도 역시 변증론을 전개한다. 여기에는 용수의 중요한 교설로서 승의제(勝義諦:최고의 진리, 반야에 의한 직관의 대상)와 세속제(世俗諦:세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중관파 (관련어 중관학파) Madhyamaka, 中観派
    중관파(中觀派) 또는 중관학파(中觀學派, 동국대학교 출판부, p. 99. 고타마 붓다의 근본사상인 연기설는 후대의 불교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용수의 사상은 그의 제자인 제바(提婆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와 제바의 제자인 라후라발타라(羅喉羅跋陀羅 《The Soka Gakkai Dictionary of Buddhism》. 2011년 4월 2일...
    도서 위키백과
  • 空, Sunyata
    일상적인 어감에서 "모든 것은 공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음, 온갖 경험적인 사물이나 사건이 공허하여 덧없음을 뜻하며, 존재론적으로나 가치론적으로는 모든 술어나 속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 입장에서 이 부정은 단순히 소극적인 허무가 아니라 오히려 모든 술어나 속성으로부터 자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중관 〈중송(中頌)〉을 풀이한 저술
    존속하는 고유한 실체도 없고, 고정된 경계나 틀도 없기 때문에 용수는 공이고 중도라고 했다. 《중론》의 이름은 여기서 유래한다. 그래서 용수의 학파중관파라고 한다. 이 《중론》은 〈중송(中頌)〉이라 불리는 용수의 간결한 게송을 청목(靑目)이 풀이한 저술로, 〈중송〉은 27품 445개의 게송으로 구성되어...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중관사상 中觀思想, Mādhyamika, The Middle Way
    공관(空觀), 가관(假觀) 등의 이름을 붙였을 정도이다. 그러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중관사상은 ‘연기의 다른 이름이 곧 공’이라고 주장한 용수에서 비롯된 중관학파의 사상을 가리킨다. 내용 1. 인식론적 발달 1-1. 반야부의 공(空)과 중관사상의 공(空) 중관사상의 창시자인 용수의 대표저작인 『중론』은 반야부의 공...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중관사상 中觀思想
    중관학파는 용수(龍樹 Nāgār-juna:150경~250경)로부터 시작되었다. 용수는 주저 〈중론송(中論頌) Mūlamadhyamakakārikā〉에서 석가모니의 연기론(緣起論)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존재를 공하다고 한다. 이것은 또한 가명이라고도 한다. 이것이 중도의 뜻이다"(衆因緣生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유가행파 瑜伽行派, Yogacara
    상좌부 불교의 완전한 실재론과 대승불교 중관학파의 조건적·실용적인 실재론을 둘 다 공격했다. 학파의 이름은 4~5세기경 이 학파의 중요한 논서인 〈유가사지론 Yogācārabhūmi-śātra〉의 제목에서 따 온 것이다. 이 학파의 다른 이름인 '유식학파'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체험하는 현실세계가 실재하지 않는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베단타 철학
    혹은 아트만의 본질을 파악하려 한다면 그것은 실재(사트), 인식(치트), 무한한 축복(아난다)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샹카라 철학은 또한 불교의 중관학파나 유식학파와도 상당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실제로 후에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졌다는 주장은 그것이 베단타 철학으로 흡수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시대 :
    굽타 왕조 시대
    도서 이야기 인도사 | 태그 세계사
  • 유가행파의 공
    용수 이후는 그의 사상에 근거하여 중관학파가 형성되고, 또 한편으로는 공성을 인식론적 또는 실천적으로 현실에 맞추어 해명함으로써 유가행파 즉 유식학파가 확립되어, 각각 다른 학파와도 접촉하면서 논리학적인 정확함과 체계화를 기하게 되었다. 그런 과정에서 원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공성이 허무적으로 이해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밀교 密敎, Esoteric Buddhism
    경전들이 대부분 완성되었고 이와 함께 체계적인 교리를 갖추게 되어 사상적으로나 신앙적으로 인도 사회에 넓고 깊게 침투해갔다. 그러나 후기의 중관학파나 유식학파는 상징적 신비주의에 근거한 종교적 실천행위로 기울어지기 시작했고, 대승불교와 논란을 주고받던 설일체유부나 경량부 등의 소승불교의 부파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불교 , 종교
  • 자성 自性
    人無我)의 개념과 함께 일체존재로서 제법이 자성으로 실재한다는 법유(法有)의 개념을 설정하여 아공법유(我空法有)의 입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 중관학파와 나가르주나 이에 대해 이후 성립하는 대승불교는 인무아는 물론 제법의 공으로서 법무아를 주장하여 아공법공(我空法空)의 입장에 근거한다. 자성으로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