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부지선정 과정 site selection for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1983년부터 9차례의 부지선정 무산 끝에 2005년 11월 주민투표 89.5% 찬성으로 경북 경주를 최종 선정. 우리나라 원전은 200ℓ드럼 기준 매년 약 2,100드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배출하고 있다. 방사성동위원소(RI)를 사용하는 산업체나 병원, 연구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도 전체 중·저준위 폐기물의 10%에 ...
-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 radioactive waste manag..폐기물 관리에 관한 홍보, 연구개발·인력양성·국제협력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부대사업이라고 명시했다. 우리나라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은 2015년 8월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이 문을 열기까지 9차례의 부지선정 무산 과정을 거쳤다. 2004년 전북 부안에서는 주민의 반대와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기...
-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韓國放射性廢棄物管理公團, Korea Ra..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의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 조사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방사성폐기물물관리공단은 현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과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를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일대 약 210만 ㎡의 부지에 건설하고 있다...
-
원전수거물관리센터 原電收去物管理─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방사성폐기물(radioactive waste)을 영구 처분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이전에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 혹은 핵 폐기장이라는...폐기물은 방사성물질 또는 그에 의하여 오염된 물질로서 폐기의 대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방사성폐기물은 방사능의 세기에 따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public engagement on spent nuclear fue..2005년 7월 경북 경주를 중·저준위 처분시설 부지로 확정지었다. 이후 정부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부지 선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30년 넘게 해결...시민과 이해관계자,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민주적으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다. 사용후핵연료 공론화는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방안...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