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음 (관련어 조음기관) 調音, articulation
    음성학에서 발성기관(후두·인두·구강·비강)이 이루는 형태.|이 형태는 경직된 발성기관(예를 들면 경구개)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발성기관(예를 들면 혀)의 위치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발성기관의 형태는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켜 독특한 말소리를 낸다. 주요한 조음기관은 혀·윗입술·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조음기관 (관련어 조음 기관) Speech organ, 発声器官
    조음기관(調音器官)은 말소리를 만드는데 쓰이는 신체 기관을 의미한다. 발음기관(發音器官)이나 음성기관(音聲器官)이라고도 한다. 윗입술 (상순) 아랫입술 (하순) 윗니 (상치) 아랫니 치경 (잇몸) 치조 치조제 후치경 입천장 (구개) 경구개 (센입천장) 연구개 (여린입천장) 구개수 (목젖) 혀 설첨 설단 전설 중설 후설...
    도서 위키백과
  • Speech organ 조음기관, 発声器官
    Speech organs produce the sounds of language. Organs used include the lips, teeth, tongue, alveolar ridge, hard palate, velum (soft palate), uvula and glottis.Speech organs—or articulators—are of two types: passive articulators and active articulators. Passive articulators remain static during ...
  • 조음 위치 Place of articulation, 調音部位
    조음 위치 조음 위치(調音位置)는 자음을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고 소리가 만들어지는 부분이다. 조음 위치의 명칭은 주로 조음을 돕는 조음기관 중 위턱에 있는 조음기관의 명칭으로 결정한다. 양순음(두입술소리) - 윗입술과 아랫입술 순치음(이입술소리) - 아랫입술과 윗니 설순음(혓날윗입술소리...
    도서 위키백과
  • 조음분석 articulatory analysis
    음성파의 분석에 의해 발생기관의 형상, 즉 성도형이 추정된다. 또, 음운과 발성기관의 형상과는, 음성생성의 기구를 생각하면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X선 분석 등에서 발성기관의 움직임과 음운의 관련성이 조사된다. 이것들을 음성의 조음분석이라고 한다.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조음결압 調音結合, co-articulation
    음성을 내기 위하여 각 기관의 작용을 조음이라 하고, 단음의 구별은 이 상태의 상이에 의한다. 하지만 언어로서 몇 개의 단음이 연속하여 발음될 때, 인접한 음이 서로 영향을 끼쳐 변형이 생긴다. 이것을 조음결합이라 한다. 〈참조어〉 음성 단음
  • 조음결합 co-articulation
    부분에서 음향적 성질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 입이나 혀 등의 음성기관의 거침없는 운동에 의해 제어되어 음이 만들어지는 것에 따라 생긴다. 예를 들면...하는 발성에서, 최초의 음소 /a/와 음소 /r/의 중간부에서는, 조음결합을 위해서 인접하는 음소의 영향을 받아서 음소의 음향적 성질이 변화한다. 음성인식...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조음음성학 Articulatory phonetics, 調音音声学
    조음음성학은 음성학의 하위 분야로 어떻게 인간이 말소리를 만들어 내는가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조음음성학은 성도를 구성하는 조음 기관, 즉 혀, 입술, 턱, 입천장, 이빨 등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특정 말소리를 만들어 내는가에 관심을 가져왔다. 어떻게 소리가 만들어지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험적인...
    도서 위키백과
  • 발음기관 發音器官
    발음기관인데 여기에는 [그림 3] 에서 보듯이 인두강 · 구강 · 비강 및 순강(脣腔)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성대에서 발생한 목소리, 즉 후두음(喉頭音)을 고르는 데 쓰이는 공명강(共鳴腔)의 구실을 한다. 인두강은 성대의 바로 위에서 시작하여 구강과 비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모양의 공명강으로서, 성대를...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음성생성기구 speech production mechanism
    무성 음원은 혀끝, 이, 입술 등의 조음기관에 의해서 형성되는 조음점을 호흡하는 공기가 지날 때 공기의 난류에 의해서 발생한다. 구동 음원으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은 입 안의 조음 기관에 의해서 형성되는 음성관(음성, 음향 모델 참고)을 지남으로써, ‘아’나 ‘이’와 같은 음색을 가진 음이 된다. 조음된 음파는...
    분야 :
    패턴 정보처리
  • 언어장애 言語障碍, speech disorder
    3) 구음장애(dysarthria) 구음장애는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또는 발성에 관여하는 근육의 손상이나 질환으로 말을 만드는데 결함이 있는 상태입니다. 조음기관의 근육 약화 혹은 마비로 인해 호흡, 발성, 공명 등에 영향을 주어 정상적인 말의 속도, 강도, 시간, 정확성에 문제가 나타납니다. 뇌손상 후 실어증과...
  • 오음 五音
    창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초성자의 제작에는 ‘상형’과 ‘가획’이 중요한 원리로 작용한다. 즉 오음을 기준으로 같은 조음 위치에 속하는 글자들은 조음 기관을 ‘상형’하여 기본자를 하나씩 만든 후 나머지 글자들은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들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같은 조음...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