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젤라시오 1세 Saint Gelasius I
    축일은 11. 21. 교황(492~496 재위).|총대주교 아카키우스(471~849년 재임)가 동방에 군림하고 있을 때, 동로마 제국 황제 제노는 반대파인 단성론자들과 화해하기 위해 헤노티콘(Henotikon)이라는 평화 신조를 마련한 일이 있었다. 단성론자들이란 예수 안에 있는 인성과 신성(神性)은 하나의 본성을 이룬다는 이단적...
    출생 :
    미상
    사망 :
    496. 11. 1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젤라시오 1세 (관련어 젤라시오 1세) Pope Gelasius ..
    교황 젤라시오 1세 1981. 교황으로서는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도 교황의 권위를 강조하고 정통 신앙을 강력하게 수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11월 21일이다. 젤라시오 1세는 발레시우스의 아들로서 그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견이 있다. 《교...
    도서 위키백과
  • Pope Gelasius I 교황 젤라시오 1세, ゲラシウス1世 (ローマ教皇)
    Pope Gelasius I (died 19 November 496) was Pope from 1 March 492 to his death in 496. He was probably the third and last Bishop of Rome of North African origin in the Catholic Church. Gelasius was a prolific writer whose style placed him on the cusp between Late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 젤라시오 미사 전례 기도집 ~典禮 祈禱集, Gelasian Sacrament..
    기도집에는 성체성사와 다른 전례 거행의 주례자를 위한 기도문들이 들어 있다. 한때는 미사 전례 기도집의 감사송과 기도들을 지은 것으로 알려진 교황 젤라시오 1세(492-496년)의 작품으로 오인되기도 했었다. 젤라시오 미사 전례 기도집은 세 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전례 시기 고유 부분(예수 성탄 대축일...
  • 젤라시오 Gelasius
    Gelasius, 1세(?∼496). 교황(재위 : 492∼496). 로마태생(혹은 아프리카 태생이라고도 함). 교황 취임 후에 선임자인 성 펠릭스 3세의 종교정책을 계승하여 반단성론적(反單性論的) 정책을 취하였다. 또한 마니교, 펠라지우스주의와도 투쟁하고, 아카키오스(Akakios)의 시스마(교회분리, 484∼518년)에 대해서는...
  • 젤라 Gela
    아크라가스(북서쪽으로 72㎞ 떨어진 지금의 아그리젠토)를 세웠다. 젤라는 이곳 출신의 참주인 히포크라테스(BC 498~491 재위) 밑에서 최대의 전성기를 누리면서...405년 카르타고인들에 의해 파괴된 뒤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오스 1세의 명령으로 버려졌다. 그리스의 정치가인 티몰레온 시대(BC 337경)에 주민들이...
    위치 :
    이탈리아 남서부 시칠리아 섬 남부, 지중해 젤라 만 연안
    인구 :
    74,858명 (2017 추계)
    면적 :
    279.07㎢
    대륙 :
    유럽
    국가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Pope Gregory I, グレゴリウス1世 (ローマ教皇)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그 기념으로 그레고리오 1세는 하드리아누스의 영묘 위에 한 손에 칼을 든 청동 천사상을 세우도록 지시했다. 한편, 당시 성좌는 교황 젤라시오 1세 이래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서방에서 효과적인 지도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령 갈리아의 주교들은 모두 해당 교구 지역의 대지주 가문...
    도서 위키백과
  • 양검론 Doctrine of the two swords, 両剣論
    걸쳐 중세 유럽에서 제기된 성속(聖俗) 권력에 대한 이론. 로마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사이의 서임권 투쟁을 배경으로 생겨난 이론이다. 교황 젤라시오 1세는 「이 세상은 성속(聖俗) 두 개의 권력으로 통치되고 있다」는 관념을 제창하였고, 교회법학자들도 두 개의 권력이 존재하는 것이 신의 법에 토대를...
    도서 위키백과
  •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Pope Anastasius II, アナスタシウス2世 (ローマ教皇)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사이에 심각한 교리상의 논쟁이 일어난 이후, 기독교계는 오랫동안 분열이 이어졌다. 교황 펠릭스 3세(483년-492년)와 교황 젤라시오 1세(492년-496년)는 모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카키우스 등을 비롯한 동방 교회의 주요 인사들을 대거 파문하는 등 대체적으로 동방 교회에 대해 강경한...
    도서 위키백과
  • 교황 敎皇
    422~432 44 성 식스토 3세 432~440 45 성 레오 1세 440~461 46 성 힐라리오 461~468 47 성 심플리치오 468~483 48 성 펠릭스 2세 483~492 49 성 젤라시오 1세 492~496 50 아나스타시오 496~498 51 성 심마코 498~514, 라우렌시오 52 성 호르미스다스 514~523 53 성 요한 1세 523~526 54 성 펠릭스 3세 526~530 55...
  • 하인리히 5세 Heinrich V
    없었다. 젤라시오 2세의 후임자인 갈리스토 2세가 협상을 제의했을 때 하인리히는 완전한 성직 임명권을 달라는 요구를 철회할 각오가 되어 있었지만, 협상은 실패했다. 국내의 어려움이 점점 심해지자, 군주들이 마침내 주도권을 잡고 교황과 보름스 협약(1122)을 맺었다. 이 조약으로 왕은 주교들에게 주교의 상징인...
    출생 :
    1086. 8. 11
    사망 :
    1125. 5. 23, 프리슬란트 위트레흐트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기독교 관련 문서 색인 Index of Christianity-related articles
    3세 교황 인노첸시오 4세 교황 인노첸시오 5세 교황 인노첸시오 6세 교황 인노첸시오 7세 교황 인노첸시오 8세 교황 인노첸시오 9세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2세 교황 첼레스티노 3세 교황 첼레스티노 4세 교황 첼레스티노 5세 교황 카이오 교황 코논 교황 콘스탄티노 교황 클레멘스 11세 교황 클레멘스 12...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