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수 (바둑용어) 법수, 正手
    바둑에서, 바둑의 기리와 법도에 맞는 수를 이르는 말. '법수'라고도 한다. 정수가 아닌 수는 변칙수, 의도가 불순하여 숨기는 수는 꼼수, 규칙에 맞지 않는 수는 반칙수라고 한다.
  • 법수 (바둑용어) 정수, 法手
    바둑에서, 바둑의 기리와 법도에 맞는 정수를 이르는 말. 정수가 아닌 수는 변칙수, 의도가 불순하여 숨기는 수는 꼼수, 규칙에 맞지 않는 수는 반칙수라고 한다.
  • 홀림수 (바둑용어) 속임수, ─ 手
    바둑에서, 상대방의 실수와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정수가 아닌 수. '속임수', '암수', '꼼수'라고도 한다.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를 말한다.
  • 변칙수 (바둑용어) 變則手
    바둑에서, 바둑의 기리와 법도에 맞지 않는 수를 이르는 말. 바둑의 정도에 맞는 수는 정수라고 부른다. 의도가 불순하여 숨기는 수는 꼼수, 규칙에 맞지 않는 수는 반칙수라고 한다.
  • 암수 (바둑용어) 속임수, 暗手
    바둑에서, 정수가 아닌 속임수를 이르는 말. 상대방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수를 말한다.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이다.
  • 속임수 (바둑용어) 암수, ─ 手
    바둑에서, 상대방의 착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는, 정수가 아닌 수. 상대방이 실수를 하도록 유도하여 이익을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지 않는 착점에 두는 수를 말한다.
  • 의문수 (바둑용어) 疑問手
    바둑에서, 의도나 효과를 알기 어려운 수. 해당 국면에서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정수로 보기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완착이나 악수도 보기도 쉽지 않은 수를 말한다.
  • 속수 (바둑용어) 俗手
    바둑에서, 기리(棋理)에 따른 정수가 아닌 수. 형세에 대한 깊은 성찰이 없이 타성에 젖어 습관적으로 두어 착수의 효과가 크지 않은 수를 말한다.
  • 삼연성 三連星, 三连星
    일본의 다케미야 마사키가 흑으로 즐겨 두었다. 백1의 날일자 걸침에 흑2의 한 칸 협공으로 응수하는 것이 보통의 진행이다. 백3의 삼삼 (바둑)의 침입에 대해서는 흑5가 아닌, 흑4로 막는 것이 정수. 백7로는 a 또는 b로 두는 변형도 있고, 흑8로 a에 두는 경우도 있다. 보통 이런 경우 상당한 세력이 확보된다.바둑 용어
    도서 위키백과
  • 함정수
    함정수는 상대방을 끌어들이기 위한 의도와 함정이 숨겨진 음험한 수단이다. 정수가 아닌 부정적인 수로 암수라고도 한다. 바둑용어[[분류:바둑 용어}}
    도서 위키백과
  • 변칙수
    변칙수 또는 꼼수는 바둑의 원칙에서 벗어난 수로, 널리 사용되어 인정을 받지 못한 수, 정수가 아닌 수를 뜻한다. 바둑용어
    도서 위키백과
  • 미생 (만화) Misaeng (manhwa)
    매사를 바둑과 연관지어 생각한다. 2부에서는 원 인터네셔널에서 퇴사한 직원끼리 모여 만든 온길 인터네셔널의 평사원이 된다. 아직 살아있지 못한 자. 김부련 영업팀 부장. 나중에 원 인터네셔널에서 퇴사한 후 온길 인터네셔널을 창업해 사장이 된다. 원 인터네셔널에서의 부하들 중 일부를 영입해 부하 직원으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