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자기공명영상(MRI)의 원리 자기공명영상(MRI)의 원리방출하는 공명현상이 일어난다. 이렇게 원자핵이 고유하게 방출하는 고주파를 예민한 안테나로 모아서 컴퓨터로 영상화한 것이 MRI이다(→ 자기공명). 이러한 핵자기공명 현상은 원자번호가 홀수인 원자에서만 일어나는데 현재 임상적으로 쓰이는 MRI는 인체에서 가장 많은 홀수번호 원소인 수소(H:원자번호 1)를 이용...
-
자기공명영상(MRI)의 장점과 단점 자기공명영상(MRI)의 장점..있는 혈류의 신호 강도가 정지해 있는 인체조직과 다르다. 즉 심장·동맥·정맥의 혈액과 뇌척수액 등은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자파에 의한 자기공명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다. 따라서 통상적인 스핀-에코법 촬영상에서 움직이는 혈류는 무신호로 까맣게 나타나서 주위 조직과 대조되어 나타나므로 특별한...
-
복합된 전자 스핀과 핵자기공명어떤 물질이 1가지 이상의 공명을 보일 때는 몇 개의 공명을 동시에 연구하는 것이 유익하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연구에서는 어느 1가지의 공명을 측정하면서 다른 공명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장비에 2가지 진동 자기장이 존재한다. 즉 하나는 구동기를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측정기를 위한 것이다. NMR를...
-
-
자기공명영상(MRI)의 적용 자기공명영상(MRI)의 적용현재까지 MRI는 주로 신경계통(중추 신경계, 두경부, 척추와 척수 등)의 이상병변을 찾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실제로 사용범위는 비교적 넓다(→ 의학). ① 중추신경계에서 대뇌반구의 병변, 뇌혈관을 침범하는 질환, 뇌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뇌종양의 여부, 뇌출혈, 선천기형 등을 검사할 때, ② 두경부에서 비인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