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임성주 중사(仲思), 任聖周
    조선후기 『녹문집』을 저술한 학자.|개설 충청북도 청풍 출신.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 아버지는 함흥판관 임적(任適)이며, 어머니는 호조정랑 윤부(尹扶)의 딸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을 통해 이기(理氣)를 기일원론적(氣一元論的) 관념으로 통일했다. ...
    시대 :
    조선
    출생 :
    1711년(숙종 37)
    사망 :
    1788년(정조 12)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 임성주 任聖周
    기일원론을 주장한 성리학의 대가로 낙론의 대표자인 이재에게 배웠다. 1733년(영조 9) 사마시에 합격했다. 잠시 벼슬에 나섰으나 주로 공주의 녹문에 은거하며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으로 여생을 보냈다. 이기합일을 주장했지만 사실은 철저한 주기론자였다. 그는 자연하고 당연한 것을 도 또는 이라고 하는 것이며, 그것...
    출생 :
    1711(숙종 37)
    사망 :
    1788(정조 1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임성주 任圣周
    1711년 ~ 1788년)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다.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 청풍 출신.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저서에 《녹문집(鹿門集)》이 있고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했다. 그의 사상을 주기설이라 할 때 주기설이란 표현은 단순히 "모든 것을 이(理)와 기(氣)로 설명하되 이보다 기에 좀더 치중하여 설명한...
    도서 위키백과
  • 임성주 (야구인) 林星珠
    야구 선수 정보 임성주(林星珠, 1965년 5월 2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의 외야수이다.태평양 돌핀스에 속한다. 인천고등학교 경희대학교 현대 유니콘스
    도서 위키백과
  • 기일원론 유기론, 氣一元論
    기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자연철학은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있어왔다. 우리나라에서 기일원론 철학의 본격적인 전개는 서경덕(徐敬德)부터이다. 이후 임성주(任聖周)·최한기(崔漢綺)·최제우(崔濟愚)에게로 이어져 내려왔다. 서경덕은 우주만물의 궁극적 근원을 기로 보아 기일원론의 철학을 열었다. 그는 천지만물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녹문집 鹿門集
    26권 13책. 목판본. 동생 정주가 편집해 1795년(정조 19)에 간행했다. 수록된 편지는 주로 저자가 스승인 이재(李縡)를 비롯해 윤봉구·김원행(金元行)·송명흠(宋明欽)·이민보(李民輔) 등과 경전 또는 심성·이기에 관해 주고받은 문답들이다. 잡저에는 〈심경〉·〈소학〉·〈논어〉·〈중용〉·〈의례〉·〈주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생의 生意
    개설 중국 북송(北宋)의 정호(程顥)가 처음 사용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임성주(任聖周)가 자기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채용함으로써 그 의미가 특별히 부각되었다. 연원 및 변천 임성주 당시에 이이(李珥)의 주기론(主氣論)을 계승한 기호지역 성리학자들 사이에서는 인간의 본성[性]과 마음[心]을...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녹문경차 녹문성리설(鹿門性理說), 鹿門經箚
    개설 조선후기의 성리학자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가 『대학(大學)』에 대해 해설하고, 스승 김원행의 시 「신기음(神氣吟)」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 『대학』은 임성주의 경학연구서인 『대학차의(大學箚疑)』를 말하며, 「신기음」은 김원행(金元行)의 시에, 구절마다 주석형식으로 자신의 성리설 견해...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임성주
    창작/발표시기 :
    1761년, 녹문경차1769년, 녹문잡고
    성격 :
    유학서, 성리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50장)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서울대학교 규장각
  • 임윤지당 윤지당 임씨, 任允摯堂
    개설 조선 후기 영조, 정조 때 원주에서 활동한 여성 성리학자로서, 본관은 풍천(豊川)이고, 함흥판관 임적(任適)의 딸이며, 대 유학자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의 여동생이다. 녹문의 학설을 계승하여 사단칠정(四端七情),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등의 성리설과 많은 시문을 담은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를...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일분수 理一分殊
    분수를 주장했다. 한국에서도 이일분수는 성리학의 근본 명제로 받아들여졌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이이(李珥)의 이일분수설, 기정진(奇正鎭)의 이일분수설, 임성주(任聖周)의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이다. 원래 성리학에서 이(理)는 개별 사물을 초월해서 존재하는 정신적 실체로서의 성격과, 개별 사물에 내재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학문
  • 주문공선생재거감흥시제가주해집람 감흥시집람, 朱文公先生齋居感興詩諸家註解集覽
    편찬/발간 경위 18세기의 성리학자 임성주가 주희(朱熹) 「감흥시(感興詩)」에 대하여 중국과 우리나라의 여러 주석서를 검토하여 편찬한 책이다. 임성주는 친구 홍계수(洪季修, 미상)가 족부(族父)인 홍경중(洪敬仲, 미상)에게 이를 구해다주면서 보완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는 권유에 따라 저술하였다. 편집작업과...
    시대 :
    조선
    저작자 :
    임성주
    창작/발표시기 :
    1753년
    성격 :
    주석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56장)
    간행/발행 :
    홍계수(洪季修)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녹문명덕설 鹿門明德說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이 표제상으로는 임성주(任聖周)가 ‘명덕’에 관한 내용을 취합하여 해설한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 이 저술은 녹문(鹿門)의 창작이라기보다는 ‘명덕’에 관한 제가들의 의견을 모아놓은 책이라 할 수 있다. 그 근거로는 『미호집(渼湖集)』·『도암집(陶菴集)』등을 명기한 후 미호김원행(金元行...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유학서, 명덕설모음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1장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녹문집
녹문집
역천집 / 임성주에 대한 답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