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본의 패망과 항일전쟁의 승리
    1937년 10월 일본군에 의한 우한 함락 이후 대치 단계에 들어갔던 중일전쟁은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태평양전쟁 직전 최대의 병력을 중국에 파견했던 일본군은 1941년 가을 후난 성 창사 방면에서 적극적인 작전을 벌였으나 중국군의 반격으로 좌절되는 등, 전황은 점차 교착 상태에 빠져들었...
  • 항일독립전선의 샛별이 된 호가장 전투의 영웅들, 손일봉 ・ 최철호 ・ 박철동 ・ 이정순 孫一..
    일제의 패망과 더불어 우리 민족이 광복을 맞았을 때 귀국을 위해 1945년 9월 연안과 태항산에서 출발해 봉천(奉天)으로 행군 집결해가던 조선의용군 대오는 황북평촌의 4열사 묘역에 일부러 들러 참배하고 작별인사를 하였다. 그들이 호가장 전투와 그 순국 4열사에 대해 갖고 있던 자부심과 경의가 얼마나 컸는지를...
    출생 :
    손일봉 1912년, 의주최철호 1915년, 대전박철동 1915년, 충북이정순 1918년, 벽동
    사망 :
    손일봉 1941년최철호 1941년박철동 1941년이정순 1941년
    포상훈격 :
    손일봉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최철호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박철동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정순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
  • 세계와 일본
    전쟁의 승리로 세계 열강의 대열에 오른 일본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야욕을 충족시켰다. 이에 아시아 각국에서는 국내 정치의 개혁과 민족 운동이 불타오르게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일본은 직접적인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고 중국의 산동 반도를 공략하여 독일이 중국에서 소유하고 있던 권익을 그대로 승계...
  • 일본과 한국과의 관계
    전쟁의 승리의 여세를 몰아 한국으로 하여금 한일의정서·한일협약을 맺게 하고 1905년에는 을사늑약을 맺어 통감부를 설치했으며 1910년 한일합병조약을 체결...강점기 한일합병 후 설치된 총독부를 위시하여 식민지 통치를 실시한 일본은 무단정치를 통해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박탈했으며 한국을 일본상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지청천 池靑天
    않은 승리를 거두었고, 중국 항일군과 연합작전을 펼쳐 상당한 전과를 올렸다. 1933년 6월 말 일본의 간도파견군을 공격하여 군복 3,000여 벌, 소총 1,500정 등을 노획한 '대전자령(大甸子嶺) 전투'는 청산리 ・ 봉오동 대첩과 함께 독립전쟁 '3대첩'으로 꼽힌다. 하지만 괴뢰 만주국의 수립 및 일제에의한 만주지배의...
    출생 :
    1888년 1월 25일(음력), 서울
    사망 :
    1957년 1월 15일
    본관 :
    충주(忠州)
    주요활동 :
    1919년 일본군 현역장교 신분으로 서간도 망명, 신흥무관학교 교관 및 서로군정서 사령관, 1921년 고려혁명군관학교 교장, 1925년 정의부 군사위원장 및 총사령관, 1931년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1934년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총교도관, 1935년 민족혁명당 군무부장, 1939년 임시정부 군무부장, 1940년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1947년 대동청년단 단장, 1948년 제헌국회의원(서울 성동), 1948년 무임소장관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신한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 장제스 중정, 장개석
    승리는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 만들었다. 다만 항일전 초기에 있었던 난징국민정부와 일본 측의 일련의 강화협상 시도는 비록 왕징웨이(汪精衛)처럼 친일정권...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당시 국민당 정권의 제2인자이던 왕징웨이는 일본과의 전쟁이 전혀 승산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강화조약을 맺고 실제적인 정치...
    출생 :
    1887년 10월 31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펑화현(奉化縣)
    사망 :
    1975년 4월 5일
    관련 사건 :
    신해혁명, 시안사변, 카이로회담
    국적 :
    중국
    주요활동 :
    1911년 신해혁명 참여, 1924년 황푸군관학교 교장, 1928년 난징 국민정부 수립, 1932년 윤봉길의거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독립운동 지원, 1943년 카이로회담에서 한국독립문제 논의
    포상훈격 :
    1953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중국혁명동맹회, 중화혁명당, 중국국민당, 황푸군관학교
  • 동남아시아사 History of Southeast Asia
    또는 항일활동은 그후 전후의 독립운동에 직결되었다. 일본은 필리핀에 괴뢰정부를 수립했으나(1943) 곧 미국에 탈환되었고, 미얀마에서는 국군이 일본군에...임시정부가 결성되어 그후 각국 정치의 흐름을 주도해갔다. 인도네시아는 일본의 패망을 계기로 1945년 8월 17일 수카르노, 하타 등이 독립을 선언하고 그후...
    위치 :
    아시아의 남동부 지역
    대륙 :
    아시아
    국가 :
    타이,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미얀마,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중국의 현대화
    요구하고 항일정당 대표로 이루어진 연합정부의 결성을 요구했다. 국공내전 시기 1945년 8월 일본패망하여 중국에서 물러나자 국·공 양당의 군사적인 충돌이 공공연해졌다. 미국은 1944년 이래 중국의 정치에 직접 개입하여 국·공 간의 대결을 피하도록 유도하고 중국의 대일 항전력을 강화시키려 했다. 또 전후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주더 주덕, 朱德
    총지휘관이 되어 전쟁의 선두에 섰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패망하고 물러가자 다시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에 내전이 일어났다. 팔로군은 인민...이름을 바꾸었고, 주더는 다시 인민해방군의 총사령관이 되어 국민당과의 전쟁승리로 이끌었다. 1949년 중국에서는 공산당 정권이 정식으로 수립되었고...
    출생 :
    1886년
    사망 :
    1976년
  • 냅코프로젝트 납코프로젝트, Napko Project
    입대해서 전쟁성의 군용어학원을 다닌 변일서(邊日曙)와 이태모(李泰模), 미 육군에 입대했던 이초와 차진주(車眞宙, James C. Charr), OSS의 중국·버마 지역에서 활동한 박기벽(朴基闢)이 주요 인물로 차출되었다. 장석윤과 박기벽은 이후 새로운 한인들을 모집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 6명 외 냅코프로젝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발생 :
    1945년 1월
    성격 :
    군사작전, 해외 독립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45년 8월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OSS 아이플러 대령, OSS 도노반 국장
    관련 장소 :
    남캘리포니아주의 산타 카타리나 섬
  • 박인호 용호, 朴寅浩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10월 말 홍주성(洪州城) 전투에서 패한 후에는 도피생활에 들어갔다. 예산에 있는 금오산(金烏山)에 토굴을 파고 살다가 청양(靑陽)의...사후에는 손병희를 교주로 받들었다. 1901년 이후 손병희가 일본에 망명하여 문명개화운동을 추진할 때는 심복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평안도...
    출생 :
    1855년 2월 1일, 충남 예산(禮山)
    사망 :
    1940년 4월 3일
    관련 사건 :
    천도교중앙총부
    본관 :
    밀양(密陽)
    주요활동 :
    1894년 동학농민운동 참여, 1904년 진보회의 갑진개화운동 주도, 1919년 3・1운동 참여, 1936년 멸왜기도운동 주도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천도교중앙총부
  • 강군평 康君平
    경우 미 ・ 영국과의 전쟁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장기화를 꾀하는 일본이 패전하는 것은 확정적이다”라는 등의 이야기를 듣고 일본이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장기전으로 가면 패망할 것임을 확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을 주민들과 함께 공유하면서 항일 의식을 전파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같은 마을...
    출생 :
    1877년 2월 28일, 전라남도 제주(濟州)
    사망 :
    1955년 6월 15일
    주요활동 :
    1934~1941년 민족의식 고취
    포상훈격 :
    1993년 건국포장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