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구텐베르크 이후 인쇄술의 발달개요 구텐베르크 이후 350년 동안 나사식 인쇄기는 많이 개량되었다. 1550년경 목제나사가 철제로 바뀌었으며, 1570년경에는 종이의 여백에 잉크가 묻지 않게 하는 프리스컷(frisket:종이 누르는 나무틀)과 활자의 높이가 고르지 않더라도 인쇄압력을 일정하게 해주는 팀판(tympan)이 등장했다. 1620년경에는 압반이...
-
인쇄술의 발달과 지식 생활의 향상소르본 대학에 세워졌다. 이후 15세기 말까지 프랑스에는 총 9개의 인쇄소가 설립되었고 그 중에서 파리와 리옹은 인쇄업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인쇄술의 발달은 책의 독자층을 확대시킴으로써 16세기 이후 도시의 지적 생활을 크게 향상시켰다. 책의 보급이 보편화되기 이전의 지적 생활의 중심은 교구와 학교였다...
-
중국의 4대 발명품 중 하나, 활자 인쇄술 발명녹이고, 활자를 손으로 떼어 냈다. 이러한 방법은 시간에 비해 많은 양의 인쇄를 가능하게 했으며, 비용과 인력을 절약했다. 필승이 발명한 활자 인쇄술은 당시 인쇄술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송나라 시대에는 이때까지 발달해 온 제지술과 결합하여 각종 서적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중앙의 국자감이나...
- 시대 :
- 1048년
-
도서관 圖書館經籍) · 축소(祝疏) · 재초제향(齋醮祭享)의 문서를 소장하고 편서 · 교서 · 간행 · 시강 · 제고(制誥)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2) 고려시대 목판인쇄술이 발달하였던 고려 초에도 도서의 수집을 위한 구조적인 시책은 별로 없었다. 고려의 왕실문고는 전 시대를 통한 사고(史庫)를 비롯하여 성종 때의 비서성...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고려의 과학과 기술수취를 가능케 했다. 원나라의 농서인 〈농상집요〉의 간행에서 보듯이 농업기술의 향상에는 중국의 농서가 적절히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양잠기술도 발달했으며, 공민왕대 목면 도입은 의류생활과 상품작물 재배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과학기술이 거둔 성과로서 주목할 만한 것의 하나는 인쇄술이다...
-
구텐베르크 활판 인쇄술 발명인쇄할 수 있는 활판도 아울러 제작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한 시간에 240장을 인쇄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당시의 인쇄술 기준으로는 획기적인 속도였다. 인쇄술이 유럽보다 일찍 발달했던 동아시아에서는 복잡한 한자를 인쇄하는 기술적 어려움 등으로 인쇄술의 발전 속도나 활용도가 유럽에 비해...
- 시대 :
- 1450년
- 국가/대륙 :
- 유럽
-
-
인문주의와 속어 문학의 발달인쇄술의 발달은 프랑스 인문주의 성장에 기여하였다. 프랑스 인문주의는 이탈리아에서 들어온 고전 고대 작품과 귀중한 사본들에 의해 촉발되었고, 인쇄술의 발달과 프랑수아 1세의 콜레주 드 프랑스의 창립으로 더욱 확산되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는 저명한 인문주의자들이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수학 등을 교육...
-
구텐베르크 사망 유럽 인쇄술의 아버지인쇄할 수 있는 활판도 아울러 제작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한 시간에 240장을 인쇄할 수 있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당시의 인쇄술 기준으로는 획기적인 속도였다. 인쇄술이 유럽보다 일찍 발달했던 동아시아에서는 복잡한 한자를 인쇄하는 기술적 어려움 등으로 인쇄술의 발전 속도나 활용도가 유럽에 비해...
- 시대 :
- 1468년
- 국가/대륙 :
- 유럽
-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수단이 되는 매스 미디어는 인쇄술의 발달로 등장한 활자 미디어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전파 미디어로 발전해왔고, 컴퓨터·통신위성·광통신 등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의해 뉴 미디어로 발달해가고 있다. 매스 미디어의 선두가 되었던 신문은 15세기에 발명된 인쇄술에 의해 발달되었고, 산업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