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필제의 李弼濟─亂
    1871년(고종 8) 3월 10일(음) 동학교도인 이필제가 동학 제2대 교주 최시형(崔時亨)과 함께 영해에서 봉기한 사건.|역사적 배경 1863년(철종 14) 동학에 입교한 이필제는 자신이 체포되어 처형당하는 1871년 말까지 9년 동안 진천 · 진주 · 영해 · 문경 등지에서 4번에 걸쳐 봉기를 주도하였다. 특히 1871년 3월 10...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이필제의
    이필제는 자신과 같은 몰락한 양반 출신의 사람들을 모아 반란을 도모했다. 이들은 군현단위를 넘어서서 지방 관아를 무력으로 점령하고 서울까지 진격하고자 했다. 1869년 진천작변은 공주·천안 등지를 중심으로 사람을 모으던 중 밀고로 실패했다. 이후 이필제는 남해거사를 준비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고 다시 진주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필제 주성칠(朱成七), 李弼濟
    경상북도 영해로 피신, 잠복하여 동학의 제2대교주 최시형(崔時亨)을 설득하여 동학교문 전체의 신원운동을 전개할 계획을 세워 1871년 3월 10일 이른바 이필제의 을 일으켜 성공을 거두었다. 그 해 8월 문경에서 봉기하려다가 체포되어 12월 서울 서소문 밖에서 능지참(凌遲斬) 교수형을 당하였다. 동학에 입교한 뒤...
    시대 :
    근대
    출생 :
    1825년(순조 25)
    사망 :
    1871년(고종 8)
    유형 :
    인물
    직업 :
    주모자, 천도교인, 농민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예안(禮安)
  • 이필제 전봉준의 선구자가 된 반골의 혼
    25세에 경상도 풍기에 있는 외가로 나들이를 갔을 때, 그의 외삼촌 안재백(安載佰) · 안재억(安載憶)은 학식이 뛰어나고 인물이 훤칠한 이필제를 풍기 서부면 교촌에 사는 이름 선비 허선(許璿)에게 소개했다. 허생원 또는 야옹(野翁, 시골 노인네) 선생으로 통하는 허선은 이필제가 지은 시 〈남정록(南征錄)〉을...
    출생 :
    1826년
    사망 :
    1871년
  • 교조신원운동 敎祖伸寃運動
    손을 잡고, 동학의 조직망을 통해서 동학도 2백여 명을 동원해 야간 기습 작전으로 영해(寧海)에서 봉기해 부사를 죽이고 군기를 탈취하였다. 이것이 ‘이필제의 ’이라 불리는 제1차 교조 신원 운동으로 전통적인 병란(兵亂)의 양상과 성격을 지녔다. 제2차 교조신원운동 1876년 개항과 더불어 농민 경제는 점차 파탄...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고종조농민항쟁 高宗朝農民抗爭
    위하여 봉기한 일반 항쟁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병란은 6회 모의가 있었지만 실행된 것은 1869년의 광양농민항쟁과 1870년의 영해·문경의 이필제의 으로, 모두 대원군 집권기에 발생하였다. 병란은 잔반(殘班)·유생·소리(小吏) 등이 주모자이며, 봉건왕조를 무력으로 전복하여 정권을 탈취하려는 목적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최시형 민족종교인 동학을 열다
    진실로 이필제가 일으킨 것이오. 혹 구초의 단서가 잡힐까 몸을 피해 이리 온 것이오.” 이에 세정 · 세청 형제는 초행(礁行, 최제우의 딸의 혼사를 가리킴)이 있어 집을 비우게 되므로 잠시도 자기 집에 머물 수 없다고 거절했다. 이들은 하인으로 꾸며 따라가면 되지 않겠느냐고 했지만 이것도 거절을 당했다. 이처럼...
    출생 :
    1827년
    사망 :
    1898년
  • 최시형 Choe Si-hyeong, 崔時亨
    등지로 돌아다니며 포교에 힘썼다. 1871년(고종 8) 이필제(李弼濟, 또는 다른 이름은 이필)가 그의 승낙 없이 교조 신원 운동을 전개하여, 영해(寧海)에서 이필제의 을 일으켜 동학에 대한 정부의 탄압이 가중되자 소백산의 암굴에 피신하였다. 그 뒤 영월을 거쳐 인제에 가서 《동경대전》을 간행하고, 이어 단양에서...
    도서 위키백과
  • 추안급국안 推案及鞫案
    김자점(金自點)의 역옥, 윤휴(尹鑴) 관련 사건, 숙종연간의 당쟁관계 사실인 경신년 문제, 경종연간의 노소론의 옥사, 영조연간의 무신란(戊申亂 : 이인좌의 )과 그 뒤의 역옥, 정조연간의 사학 죄인, 순조연간의 사학 죄인과 각종 변란관련 사건, 고종연간의 이필제(李弼濟) 역모와 유생들의 만인소(萬人疏) 및...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시대
    성격 :
    관찬서, 추국기록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31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李氏朝鮮後期の農民反乱
    취하였다. 그 결과 민중 봉기는 다소 진정되었으나,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리하여 흥선대원군 집권기에도 광양 민란(1869년), 이필제의 (1871년), 명화적의 활동이 그대로 지속되고, 그 연장선상에서 1894년의 갑오 동학혁명이 발생하게 된다. 조선 후기 전국적인 규모의 민란과 삼정의 문란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