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미론 意味論언어의 의미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내용 의미론은 본디 서구에서 시작되었는데, 현재 의미연구의 학문을 일컫는 말로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semantique와 semantics이다. 그리스어의 ○○○○(sign), ○○○○○○○(to signify, mark)에서 s○mantik○를 만들고, 이것을 phonetique에 대립시켜서 semantique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의미론 semantics[1] 소프트웨어 기초 분야. 명제나 추론이 표현하고 있는 수학적 내용이나 진위성을 정하여, 거기에 입각해서 논리를 연구하는 일. 구문론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구문론에서는 구체적, 구성적인 대상이나 절차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의미론에서는 집합이나 함수 등의 개념 사용도 허용된다. 의미론에서는 형식적 체계...
-
의미론 意味論, semantics문장을 문자(일반적으로 기호)의 배열로 보지 않고 문장이 포함하는 내용이나 의미를 문제로 삼는 것.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프로그램을 어떤 기계어로 번역해야 하는지를 정하는 규칙으로서 기호로 그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구문(構文)과 대비되는 말이다.
-
의미론 (컴퓨터 과학) Semantics (computer science),..의미론 또는 시맨틱스(semantics)는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의미에 대한 엄격한 수학적 연구이다. 의미론은 프로그래밍 언어 구문의 유효한 문자열에 컴퓨테이션적 의미를 할당한다. 이는 수학적 증명의 의미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종종 교차된다. 의미론은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실행할...도서 위키백과
-
Semantics 의미론, 意味論Semantics (from sēmantikós, "significant") is the study of meaning. It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signifiers, like words, phrases, signs, and symbols, and what they stand for; their denotation. Linguistic semantics is the study of meaning that is used for understanding human expression thr...출처 영어 위키백과
-
국어의미론 國語意味論서지사항 초판 1981년, 중판 1982년, 일조각 발행. 중판 326쪽(머리말과 차례 제외). 내용 김민수는 1960년대에 일어난 구조의미론의 견지에서 국어 의미의 구조를 가시적으로 기호화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1962년 이후의 이론 체계에서 단어 의미론을 설명하고, 생성문법의 확대표준이론(擴大標準理論) 체계에서 구문...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수적 의미론 algebraic semantics프로그램 언어 또는 프로그램의 의미기술법. 기본적으로는, 프로그램의 의미를 추상 데이터형으로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표시적인 방법(표시적 의미론 참고)이다. 대수적 의미론에서는 추상 데이터형을 다소트 대수로 간주하고, 그것을 공리라 불리는 등식의 집합으로 기술하고, 그 의미론을 다음과 같이 정한다. 그 기술...
- 분야 :
- 소프트웨어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