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바라밀 六波羅蜜보살의 여섯 가지 수행덕목인 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반야바라밀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의 실천행이다. 생사의 고해를 건너 이상경인 열반의 세계에 이르는 실천수행법인 육바라밀은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바라밀(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무주상보시 無住相布施내용 집착 없이 베푸는 보시를 의미한다. 보시는 불교의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로서 남에게 베풀어주는 일을 말한다. 이 무주상보시는 ≪금강경≫에 의해서 천명된 것으로서, 원래의 뜻은 법(法)에 머무르지 않는 보시로 표현되었다. 이 보시는 ‘내가’ ‘무엇을’ ‘누구에게 베풀었다.’라는 자만심 없이 온전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십바라밀 十波羅蜜내용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행(菩薩行)이며, 육바라밀(六波羅蜜)의 연장이기도 하다. 대승불교의 일반 보살행은 처음 보시(布施) · 지계(持戒) · 인욕(忍辱) · 정진(精進) · 선정(禪定) · 반야(般若)의 육바라밀로 완성시켰으나 뒤에 방편(方便) · 원(願) · 역(力) · 지(智)의 네 가지를...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반야경 般若經돌아보면서 발전했다는 것과 반야부경전이 다른 대승경전의 사상적 근거가 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반야경』에 설해진 중요 사상은 보살(菩薩)·육바라밀(六波羅蜜)·이공(二空) 등이다. 『반야경』 이전의 경우, 보살은 성도(成道)하여 불(佛)이 되기 이전의 구도자였던 석가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00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합천 해인사 내전수함음소 권490 목판 陜川 海印寺 內典隨函音疏 卷四百九十 木板있다. 다음 행에는 저자 표시인 ‘삽천서만 사문 석 행도 제(霅川西巒 沙門 釋 行稻 製)’가 있다. 본문은 반야(般若)가 한문으로 번역한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大乘理趣六波羅蜜多經)」의 10권에 대한 음의(音義)가 수록되어 있다. 각 판의 제목을 나타내는 판미제(板尾題) 부분에는 ‘내전수함음소 사백구십 제이장...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방편 구파야(漚波耶), 方便成唯識論), Vijñaptimātratāsiddhi śātra)』의 「제9권」에서는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등의 육바라밀에 이어 방편, 원(願), 역(力), 지(智)를 더해 십바라밀을 구성하면서 방편을 하나의 독립된 개념으로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 추가된 4종의 바라밀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선교방편 방편선교(方便善巧), 善巧方便완성이라는 뜻이므로, 방편바라밀은 선교방편의 궁극을 말한다. 방편바라밀은 십바라밀 중의 하나이다. 십바라밀은 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의 육바라밀과 방편·원(願)·력(力)·지(智)의 네 바라밀을 합한 것이다. 방편바라밀은 십바라밀의 7번째이다. 이것은 선교방편이란 자비와 지혜의 총화인 육바라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육도가라 六度歌─셰 나니라”라고 하여 ‘시당산인’이 짓고 필사한 것이 분명하나 누구인지는 미상이다. 내용 불교의 육도(六度)를 노래한 불교가사이다. 육도는 일명 육바라밀(六波羅蜜)이라고 하는데,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는 여섯 가지의 방편인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를 말한다...
- 저작자 :
- 시당산인
- 창작/발표시기 :
- 근대
- 성격 :
- 불교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좌선 坐禪그 직후 삼칠일 동안 삼매(三昧)에 잠겨 있었던 데에서 비롯된다. 그 뒤 불교의 중요한 실척덕목이 되어 원시불교의 삼학(三學:戒·定·慧)과 대승불교의 육바라밀(六波羅蜜: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智慧)의 하나로 정립되었다. 중국에서는 보리달마(菩提達磨) 이후 좌선을 근본수행법으로 삼는 선종(禪宗)이...
- 성격 :
- 용어, 불교수행법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십승관법 十乘觀法제관(諦觀, ?-970)은 진리를 막는 것으로는 고(苦), 삼독(三毒), 십이인연(十二因緣), 무명(無明) 등을 구체적인 예로 들었고, 팔정도(八正道), 지(智), 육바라밀(六波羅蜜), 일심삼관(一心三觀) 등을 진리와 통하는 것의 예로 들었다. ⑥ 도품조적(道品調適)은 무작(無作)의 도품(道品)을 수행자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