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효전력 power, active
    전력 용어 ① 다상회로 용어. 엔지공급한계 범위로의 다상회로의 입구단자에 있어서, 전압을 모두 경계면에서 임의로 선택된 같은 공통기준점(입구에서의 중성점단자라도 좋다)에 대해 결정되었을 때의 개개의 입구단자에서의 유효전력 대수합 주 : ⓐ 각 입구단자에서의 유효전력은 각도체 및 공통기준점을 단상2선회로...
  • 유효전력 power, available
    ① 오디오와 전기음향 용어. 부하를 적절조정하고 있는 신호원에서 얻어지는 최대 전력. 주 : 신호원에 관해, 이는 진폭과 무간한 임피던스를 갖고 이에 직렬로 접속된 일정 정현파기 전력과 등가이다. 유효전력은 신호원의 임피던스의 실부(레지스티브파트)의 4배로 나누어진 기전력의 평균평방치 ② (안에 물체가 놓여...
  • 유효전력 active power
    ① 회전기 용어. 전력을 피상전력, 복소전력 및 그 성분인 유효전력, 무효전력과 같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되는 용어 〈참조어〉 비동기기 ② 계량 용어. 파형의 1주기에 있어서의 순시전력의 시간평균. 주 : 2선회로에서 파형이 정현파인 경우는, 전압과 전류와 그들 사이의 위상각(여현)의 곱으로 나타낸다. 비...
  • 유효 전력 有效電力, active power
    (1) 순시 전력을 한 주기에 걸쳐 평균한 것. (2) 피상 전력, 복소 전력의 구성 성분으로 유효전력, 무효 전력(reactive power)을 구분할 때 사용되는 용어를 말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유효전력 有效電力, effective electric power
    일반적으로 단순히 전력이라고 불리어지고 있는것으로 교류회로에 있어서 전압의 실효값을 V, 전류의 실효값을 I, 위상차를 θ라 하면 유효전력 P=VI cos⁡θ로 나타낸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유효전력변한이득 available conversion power..
    변환기 용어. 영향을 받는 모든 주파수에 있어서 지정된 종단조건하에서의 구동용발진기로부터의 유효입력주파수전력에 대한, 그 변환기출력단자에 얻어지는 유효출력주파수전력의 비 주 : (1) 이 용어는, 그 변환기가 충분히 선형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의 진폭 등의 출력에 적용된다. (2) 변환기의 유효전력변환이득은...
  • 평균유효전력 average active power
    유효전력치를 시간 평균한 것. 이렇게 유효 전력이 변화하는 상황은 견출해낼 수 있다. 왜냐하면, 전자장치에 있어서의 전압이나 전류는 항상 엄밀한 의미로는 주기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평균유효전력은 일정시간 사이 흐르는 에너지를 그 시간으로 나눔으로 인해 간단히 구할 수 있다. 〈참조어〉 유효 전력, 순시 전력
  • 기준 유효 전력 base active power
    ① 동기발전기 및 전동기 용어. 역율 1에서의 기준전압 및 기준전류에서의 전부의 상의 합계 출력(발전기에 대하여) 또는 합계 입력(전동기에 대하여) ② 유도 전동기 용어. 정격출력. 주 : 기준 유효 전력은 통상 왓트의 단위로 표현되지만 모순이 없는 단위계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좋다.
  • 유효전력계전기 active-power relay
    일반, 전력용 개폐장치 용어. 유효전력에 응답하는 계전기 〈참조어〉 계전기, 전력 계전기, 무효전력계전기
  • 유효 방사 전력 ERP, 實效放射電力
    송신기 출력(P)에서 급전선계의 손실(L)을 뺀 안테나의 입력 전력과 송신 안테나 이득(G)과의 곱. 따라서 유효(실효) 방사 전력(ERP)은 (P-L)×G(dB)가 된다. 수신점에서의 전계 강도는 유효 방사 전력과 안테나의 높이에 따라 정해진다.
  • 유효출력전력 useful output power
    전자소자 용어. 부하본체에 유입되는 출력전력
  • 유효 모노폴 방사 전력 EMRP, 有效-放射電力
    안테나에 공급되는 전력과 주어진 방향에서의 짧은 수직 안테나에 대한 상대 이득의 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