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전공학 遺傳工學, genetic engineering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만들기 위하여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하는 학문.|개설 유전공학(遺傳工學, genetic engineering)은 생명공학의 일부로서 1970년대 유전자재조합기술의 출현과 함께 탄생했다. 유전은 어버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다음 세대의 자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유전현상은 세포 내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유전공학 遺傳工學, genetic engineering
    인공수정, 시험관 내 수정(, 정자은행, 클로닝, 유전자 조작 등이 포함된다. DNA 재조합 분야가 특히 주목된다. 1980년대에는 DNA 재조합 연구 결과가 특허화 되었고 1994년에는 유전자 변형의 최초의 농작물을 개발했다. 1997년에는 최초로 복제양 돌리가 태어났고 1999년에는 국내 최초로 복제송아지가 태어났다. DNA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생물
  • 유전공학 (관련어 유전 공학) Genetic engineering, 遺..
    유전공학(遺傳工學)은 유전자를 조작하여 인간에게 이로운 산물을 얻어내는 공학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농산물에 대해 유전자변형농산물(농림수산식품부), 이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에 대해 유전자재조합식품(식품의약품안전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DNA를 조작하여 특정한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거나 또는 농산물...
    도서 위키백과
  • 생물공학 (관련어 유전공학) 생명공학, 生物工學
    생물학 연구에서 얻은 앞선 기술과 기기들을 산업에 응용하는 것. 생명공학이라고도 함.|생물공학의 발달은 유전물질의 변화를 유도하는 유전공학의 발달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만든 물질로 사람의 인터페론(천연 항바이러스 물질), 인슐린, 성장호르몬 등이 있으며,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억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Genetic engineering 유전공학, 遺伝子工学
    Genetic engineering, also called genetic modification, is the direct manipulation of an organism's genome using biotechnology. It is a set of technologies used to change the genetic makeup of cells, including the transfer of genes within and across species boundaries to produce improved or novel ...
  • 유전공학연구원
    기술을 연구한다. 인체를 포함한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세포 내에서 수행되는 생명체 활동의 기본 현상과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를 한다. 식물이나 동물의 유전방식을 연구한다. 유전자를 재조합하여 새로운 품종을 개발한다. 유전질환과 암, 노화, 치매, 에이즈 등 질병유발에 대한 연구를 한다. 그 외에 연구원(일반...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육체활동 :
    손사용, 시각
    직무기능(자료) :
    종합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고용직업분류 :
    [122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직업분류 :
    [2111]생명과학 연구원
    표준산업분류 :
    [M701]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조사연도 :
    2012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광유전학 Optogenetics
    빛(opto)과 유전학(genetics)이 결합된 용어로, 빛과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뇌 신경세포(뉴런)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하면 기억을 제어할 수 있다. 기계가 인간 뇌에 전극을 꽂아 가상현실인 ‘매트릭스’ 안에 살고 있다고 느끼도록 인간의 감각을 조작하는 미래를 다룬 영화...
  • 유전분극 誘電分極, dielectric polarization
    유전체는 보통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전계가 작용하면 전자와 핵과의 상호위치 변위, 이온의 이동이나 유극성분자의 회전이 일어나고 외견상, 음양의 양극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유전분극이라 한다. 분극에는 전자, 원자, 이온, 계면과 쌍극자의 각 분극이 있다.
  • 유전변형 誘電變形, dielectric strain
    결정체인 수정, 티탄산바륨과 같은 유전체를 전계안에 놓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신축을 말한다.
  • HK이노엔 HK이노엔
    회사 정보 HK inno.N은 대한민국의 제약 기업이다. 1984년 제일제당이 유풍제약을 인수하여 2018년 4월 한국콜마에 인수됐다. 2020년 4월에는 ‘HK이노엔’이라는 새로운 사명을 발표했다.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 헬스, 뷰티, 음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전문의약품 분야에서는 1986년 B형 간염 백신인...
    도서 위키백과
  • 정규유전가열응용 normal through dielectric heating..
    평면의 표면이나 특수한 상태에 대해 목적이 있는 형태의 표면을 갖고, 전극간 간격은 같거나 변할 수도 있다. ② 롤러전극은 롤러전극 간을 움직이는 물질에 의해 분리된 원형전극이다. ③ 동심전극은 주위를 둘러 쌓인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그 2개의 전극 사이에 물질이 놓여진다. 〈참조어〉 유전가열 또는 고주파 가열
  • 유전위상각정수 dielectric phase constant
    유전체단위길이당 2π를 유전체내의 전자파장으로 나눈 값. 이 위상각정수는 유전율과 다음 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λ는 진공에서의 파장, ε’은 상대유전율, μ는 상대투자율, tanδ는 유전정접이다. 이 표현은 자유공간에 있어서의 유전체 또는 동축전송로에서 성립하지만, 유전체를 만족하는 도파관에서는 보정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유전공학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화학공정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검정사업
유전공학센터 인터페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