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온달동굴 溫達洞窟
    영춘남굴이나 온달동굴이라고도 한다. 총길이 700m인 수평동굴로 굴 입구 높이는 2m이다. 지층은 고생대 대석회암층에 속하고 지질연대는 4억~5억 년 전이며, 동굴 형성연도는 약 10만 년 전 이내로 추정된다. 남한강변에 동굴입구가 닿아 있어 강의 수위에 따라 수위가 달라지며, 내부에 물이 항상 차 있는 상태이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북도
  • 단양 온달동굴 (동의어 온달동굴) 온달동굴, 丹陽 溫達洞窟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있는 석회동굴.|명칭 유래 온달장군이 수양하였다는 전설이 남아 있어 온달굴이라 하며, 온달성(溫達城) 밑에 있다고 하여 지산굴(地山窟)·남굴(南窟)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온달동굴은 주굴과 지굴의 길이가 800m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면적은 307,269㎡이다. 남한강변, 그것도...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단양 온달동굴 (관련어 온달동굴)
    문화재 정보온달동굴(溫達洞窟)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단양군의 조선 누층군 고성 석회암층에 발달한 석회암 동굴이다. 1979년 6월 21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61호로 지정되었다. 온달동굴은 옛날 온달 장군이 성을 쌓았다는 온달산성의 밑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동굴의 총길이는 700m이며, 연한 회색의 석...
    도서 위키백과
  • 단양 온달동굴
    깊이 0.8~1m 정도의 물이 흐르고, 소규모 연못도 40여 개나 있으며 산천어 등 물고기와 곤충 등 10여 종의 생물도 서식하고 있다. 온달동굴 밖으로 나오면 동굴 왼쪽 산꼭대기에 온달산성이 있다. 고구려의 훌륭한 축조 기술을 엿볼 수 있는 반월형의 이 산성은, 1,400여 년의 세월에도 원형이 거의 그대로 보존되어...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온달로 23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261호(1979.06.18 지정)
  • 온달 고구려의 영웅이 된 평민
    신라와 전투를 벌이면서 이 산성을 하룻밤에 쌓았다고 하고, 그 기슭에 있는 남굴이라는 동굴에 온달이 머물면서 작전을 짰다고도 한다. 이 동굴을 오늘날에는 온달동굴로 바꿔 부르고 있다. 그곳 사람들은 온달이 이 산성에서 죽었다고 생각한다. 그 아래에 있는 월악산 언저리에는 온달이 공기받기 놀이를 했다는 큼직...
    출생 :
    미상
    사망 :
    590년
  • 온달관광지
    온달관광지는 고구려의 명장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전설을 테마로 한 온달전시관을 비롯하여 온달산성, 온달동굴 등 명승지를 모아놓은 곳이다.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떡 벌어진 풍채를 자랑하는 드라마세트장이 눈길을 끈다. 이곳에서는 SBS 드라마 <연개소문>과 KBS의 <천추태후>, <태종이방원>, <고려거란전쟁...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온달로 23
  • 단양 온달산성 성산성, 丹陽 溫達山城
    평탄한 땅이 자리하고 있다. 서북쪽은 남한강에 접한 가파른 절벽이며, 동쪽과 남쪽 성벽은 잘 다듬은 성돌을 쌓아 올렸다. 산성의 북동쪽 아래에는 온달동굴(천연기념물, 1979년 지정)이 있고, 강 건너 주변 지역에도 휴석동 윷판바위, 장발리 선돌 등 온달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또한 영월 태화산성(太華...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온달전에 나온 속담
    이외에도 온달 이야기가 《삼국사기》라는 역사서 속에 잠들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증거는 산재한다. 충청북도 단양군에 있는 천연 동굴로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261호인 온달동굴이 그렇고, 사적 제264호로 지정된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있는 온달산성, 역시 사적 제234호인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구의동에...
  • 단양 온달산성
    통한 명장으로의 변신과 홀어머니에 대한 효행심 그리고 평강공주의 내조의 힘 등을 통하여 현대의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과 의미를 주는 유서 깊은 곳으로 온달동굴과 더불어 학생들의 고적 답사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온달 산성의 지명과 전설에 의하면, 영토 확장 경쟁이 치열했던 삼국시대에 한강을 차지하기 위한...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하리
    문화재 지정 :
    사적 제264호(1979.07.26 지정)
  • 고구려 온달 장군의 자취를 찾아서
    단양 읍내를 벗어나면 소백산과 남한강 사이로 절경이 펼쳐진다. 영춘면 온달관광지는 온달 장군의 슬픈 역사가 흐르는 곳으로 온달동굴온달산성, 역사 드라마 촬영 세트장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남한강을 따라 한산하게 이어지는 522번 지방도와 구인사로 이어지는 595번 지방도는 드라이브 코스로 그만이다.
  • 온달관광지
    드라마 촬영지로도 사용되었다.뉴스 인용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에 위치하며, 대한민국 사적 제264호 단양 온달산성(丹陽 溫達山城)과 천연기념물 제261호 온달동굴(溫達洞窟)등이 위치하며 매년 이곳에서 단양온달문화축제가 열리며 드라마 세트장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1995년 총 3만평 부지를 개발하여 2년 후인...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동굴
    260호)을 비롯해 용담굴·연하굴·대야굴·비룡굴·동대굴·서대굴·옥계굴·비선굴·용연굴·저승굴·활기굴 등이 있다. 그밖에 충청북도의 단양고수동굴(제256호)·온달동굴(제261호)·노동굴(제262호), 경상북도의 울진성류굴(제155호), 전라북도 익산군의 천호동굴(제177호)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9건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 석주
단양 온달동굴 석회순
더보기